본문 바로가기
문학에 관하여

도스토예프스키의 《백치》

by 슬완빠(papa is ok) 2024. 9. 6.
반응형

**백치**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로,

1869년에 발표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인간의 선함과 도덕적 순수함을 주제로 하며,

주인공 레프 니콜라예비치 므이쉬킨 공작을 중심으로

러시아 상류사회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이 소설을 통해 진정한 선함이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그리고 그러한 선함이

현실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지를 깊이 탐구합니다.

1. 주요 등장인물

1) 레프 니콜라예비치 므이쉬킨 공작:

소설의 주인공으로, 스위스에서 오랜 기간 동안 간질과 정신적 질환을

치료받고 돌아온 러시아 귀족입니다.

그는 순수하고 선량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누구에게나 친절하게 대합니다.

그의 순진함과 도덕적 순수성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백치"라 부릅니다.

 

2)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 바라시코바:

매력적이지만 비극적인 인물로, 므이쉬킨 공작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여성입니다. 그녀는 자신의 과거와 사회적 위치 때문에 고통받으며,

자신을 파멸로 이끌 운명을 예감합니다.

그녀의 내적 갈등과 비극적 삶은 소설의 주요 갈등 요소 중 하나입니다.

 

3) 아글라야 이바노브나 예판치나:

예판친 장군의 막내딸로, 아름답고 지적인 여성입니다.

그녀는 므이쉬킨 공작에게 끌리지만, 그의 순수함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냉소적인 현실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아글라야는 공작과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 사이에서 복잡한 감정에 휘말리게

됩니다.

 

4) 파르파니 로고진:

열정적이고 충동적인 성격을 가진 부유한 상인으로,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를

열렬히 사랑합니다. 그러나 그의 사랑은 집착에 가까워 그녀를 파멸로 이끄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로고진은 므이쉬킨 공작과 대조되는 인물로, 소설 내내 공작과 대립합니다.

 

5) 예판친 장군과 그의 가족:

므이쉬킨 공작이 러시아로 돌아온 후 만나게 되는 사람들로, 공작을 사회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그를 이해하지 못하는 상류사회의 전형적인 인물들입니다.

그들은 공작의 순수함에 놀라면서도, 그의 이상주의가 현실과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2. 줄거리 요약

1) 서두: 러시아로의 귀환과 상류사회 진입

소설은 므이쉬킨 공작이 스위스에서 치료를 받고 러시아로 돌아오는 기차 여행으로

시작됩니다. 공작은 이 과정에서 파르파니 로고진과 만나게 되며, 그와 깊은 인연을

맺게 됩니다.

러시아에 도착한 공작은 예판친 장군의 집을 방문하며, 이곳에서 장군의 가족들과

만나게 됩니다. 그는 곧 상류사회에 진입하게 되고, 그의 순수함과 선량함으로 인해

사람들의 주목을 받습니다.

그러나 상류사회 사람들은 공작의 순진함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를 사회적으로

부적합한 인물로 여기며 "백치"라고 부릅니다.

므이쉬킨 공작은 이러한 시선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가진 선함과 도덕적 순수성을

잃지 않으려 노력합니다.

 

2)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와의 만남

공작은 예판친 장군의 집에서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의 초상화를 처음 보게 되며,

그녀에게 강한 관심을 갖게 됩니다. 나스타시아는 과거의 상처와 사회적 지위 때문에

고통받는 인물로, 자신이 파멸할 운명에 처해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녀는 므이쉬킨 공작과 로고진 사이에서 갈등하며, 공작의 순수함에 끌리면서도

자신의 어두운 운명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나스타시아는 공작과 로고진 사이에서 복잡한 감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며,

결국 자신이 선택한 길로 인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됩니다.

그녀의 삶은 공작의 도덕적 이상주의와 로고진의 집착적 사랑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3) 아글라야와의 관계

한편, 므이쉬킨 공작은 예판친 장군의 막내딸인 아글라야와도 깊은 관계를 맺게 됩니다.

아글라야는 공작의 순수함에 감동을 받으면서도, 그와 자신이 속한 사회의 냉소적인

현실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그녀는 공작에게 사랑을 느끼지만, 그의 이상주의가

현실에서 얼마나 유지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가집니다.

아글라야는 공작과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의 관계를 알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복잡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녀는 공작이 자신을 선택하길 원하면서도,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와의 관계가 공작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두려워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글라야 역시 자신의 내적 갈등을 겪게 되며, 결국 공작과의 관계는

비극적으로 끝을 맺습니다.

 

4) 비극적 결말

소설은 므이쉬킨 공작과 로고진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극적인 결말을 향해 치닫습니다.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는 로고진과의 관계에서 점점 더 파멸로 빠져들며, 결국

로고진의 손에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므이쉬킨 공작은 나스타시아의 죽음 앞에서 깊은 충격을 받으며, 결국 다시 정신적으로

무너져 버립니다.

공작은 다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돌아가며, 그의 순수함과 선량함이 현실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냉혹한 진단을 보여줍니다.

로고진 역시 나스타시아의 죽음 이후 깊은 고뇌에 빠지며, 두 인물은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하게 됩니다.

 

3. 주제와 의미

**백치**는 도스토예프스키가 인간의 선함과 도덕적 순수함에 대해 깊이 탐구한

작품입니다.

므이쉬킨 공작은 도덕적으로 완벽한 인물로, 그의 순수함과 선량함은 도스토예프스키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인간상을 대변합니다. 그러나 도스토예프스키는 이러한 선함이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냉혹하게 그려내며, 선한 인물이 사회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현실을 보여줍니다.

 

1) 선함과 순수함의 문제

므이쉬킨 공작의 선량함과 순수함은 사회의 냉소적인 현실과 대립하며, 이는 소설의 주요

갈등 요소 중 하나입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므이쉬킨 공작을 통해 도덕적으로 완벽한 인물이 사회에서 어떻게

취급받는지를 보여주고, 이러한 인물이 현실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합니다.

 

공작은 자신의 순수함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백치"라고 불리며, 그의 선함은 오히려 주변

사람들에게 혼란과 갈등을 일으킵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진정한 선함이 어떻게 왜곡되고

무시되는지를 묘사합니다.

 

2) 사랑과 집착

소설에서 사랑은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 다루어집니다.

므이쉬킨 공작과 나스타시아 필리포브나, 그리고 로고진 사이의 삼각관계는 도스토예프스키가

사랑의 본질과 그것이 어떻게 파괴적인 힘으로 변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공작의 사랑은 순수하고 이타적인 반면, 로고진의 사랑은 집착과 소유욕으로 가득 차 있으며,

이는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초래합니다.

 

나스타시아는 이 두 가지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며, 결국 파멸적인 선택을 하게 됩니다.

그녀의 비극적 운명은 사랑이 순수한 형태로 존재하기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줍니다.

 

3) 사회적 비판

도스토예프스키는 **백치**를 통해 당시 러시아 상류사회의 위선과 타락을 비판합니다.

므이쉬킨 공작의 순수함과 도덕적 이상주의는 상류사회 사람들의 냉소적인 태도와 극명하게

대비됩니다. 공작은 이 사회에서 외부인으로 여겨지며, 그의 도덕적 순수함은 이해되지 않고

오히려 조롱의 대상이 됩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이를 통해 당시 러시아 사회의 부패와 도덕적 타락을 드러내며, 진정한

인간성은 이러한 사회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4. 결론

**백치**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깊이 있는 철학적, 도덕적 주제를

다루는 소설로, 인간의 선함과 도덕적 순수함이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탐구합니다.

므이쉬킨 공작의 비극적 운명은 도스토예프스키가 선함과 도덕적 이상주의에 대해 품고

있던 회의적 시각을 반영합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이 소설을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하며, 선한 인물이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없는 현실을 냉혹하게 그려냅니다.

**백치**는 인간의 선함, 사랑, 사회적 타락에 대한 도스토예프스키의 복잡한 사상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주제들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성찰을 안겨줍니다.

 

이 작품은 도스토예프스키가 인간의 본성에 대해 던지는 중요한 질문들에 대한 응답이자,

그가 꿈꾸었던 이상적인 인간상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습니다.

므이쉬킨 공작의 순수함과 비극적 결말은 독자들에게 인간의 도덕성과 사회적 현실 사이의

갈등을 깊이 있게 생각하게 만듭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