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의 목적과 성경의 권위
문1: "사람의 제일 되고 가장 높은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영원토록 그를 충만히 즐거워하는 것"(롬 11:36, 고전 10:31).
이는 인간 존재의 궁극적 의미를 정의하며, 모든 삶의 활동이
하나님 중심으로 귀결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문2-3: 하나님의 존재는 자연(본성의 빛)과 섭리(창조 사역)로 드러나지만,
구원을 위한 충분한 계시는 성경과 성령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성경(구약·신약)은 신앙과 삶의 유일한 규범이며, 그 권위는
장엄성·순수성·일치성·영광 귀속성·구원적 효력으로 입증됩니다(딤후 3:16-17).
2. 하나님의 속성과 삼위일체
문6-11: 하나님은 무한·영원·불변하신 유일신이시며, 삼위(성부, 성자, 성령)가
동일한 본질을 공유합니다.
성자는 영원히 성부에게서 나셨고(요 1:1), 성령은 성부와 성자에게서
발하십니다(고후 13:13).
3. 창조와 섭리
문12-19:
1) 창조: 하나님은 6일간 무(無)에서 우주와 천사·인간을 창조하셨습니다.
천사는 영적 존재로 창조되었으나 일부는 타락했고(유 1:6),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지식·의·거룩함)으로 지음받았습니다(창 1:27).
2) 섭리: 하나님은 피조물을 보존·통치하시며, 모든 사건을 자신의 영광을 위해
주관하십니다(시 103:19).
타락한 천사의 행위도 하나님의 허락 안에서 제한됩니다(욥 1:12).
4. 언약과 인간의 타락
문20-35:
1) 행위 언약: 아담은 완전한 순종을 조건으로 생명을 약속받았으나(창 2:17),
타락으로 인류는 원죄와 부패를 물려받았습니다(롬 5:12).
2) 은혜 언약: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중보자로 세우시어 구원을 약속하셨습니다
(창 3:15).
5. 그리스도의 사역
문36-59:
1) 성육신:
성자는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참신체와 영혼을 취하시어 신성과 인성을
겸비하셨습니다(빌 2:6-7).
2) 구속 사역: 그리스도는 대속적 죽음과 부활로 의를 이루시고, 신자를 위해
중보 기도하십니다(히 7:25).
세 직무:
1) 선지자: 진리를 가르치심(요 14:6).
2) 제사장: 자신을 희생 제물로 드리심(히 9:14).
3) 왕: 교회를 통치하심(계 19:16).
6. 구원의 적용
문60-90:
1) 효력적 소명: 성령께서 말씀을 통해 신자를 부르시어 회개·믿음에 이르게
하십니다(요 6:44).
2) 칭의: 그리스도의 의를 전가받아 죄인을 의롭다 선언하십니다(롬 4:5).
3) 성화: 성령의 역사로 점차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합니다(살전 5:23).
4) 영화: 최종적 구원으로 신체가 부활하고 완전한 거룩함에 도달합니다
(고전 15:52-53).
7. 신자의 의무
문91-196:
십계명 해설:
제1계명(출 20:3): 하나님만을 최고로 섬김.
제4계명(출 20:8): 안식일을 성수함.
제6계명(출 20:13): 생명의 존엄성 보호.
제10계명(출 20:17): 마음의 탐욕 경계.
기도: 주기도문을 모범으로 삼아 기도해야 하며(마 6:9-13),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간구합니다(요 14:13).
8. 성례와 종말
문161-196:
1) 세례: 신자와 그 자녀에게 은혜의 표시로 베풀어집니다(행 2:38-39).
2) 성찬: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억하며 영적 양식을 공급받습니다(고전 11:23-26).
3) 부활과 심판: 모든 인류가 부활하여 의로운 자는 영생, 악한 자는 영벌을 받습니다
(요 5:28-29).
신학적 특징
1) 계시 중심: 성경의 무오성과 충분성을 강조합니다.
2) 언약 신학: 창조·타락·구원을 언약적 틀로 해석합니다.
실천적 적용: 교리와 윤리를 불가분의 관계로 묶어 신자의 삶을 구체화합니다.
결론: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은 인간의 존재 목적부터 종말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진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입니다.
신학적 엄밀성과 실천적 지침을 결합하여 개혁주의 신앙의 표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내면의 평화와 영적 성장을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달"의 의미 (0) | 2025.04.23 |
---|---|
혜능 스님의 『육조단경』 (0) | 2025.04.23 |
토마스 아키나스의 "신학대전' (0) | 2024.08.19 |
그리스도의 편지 (0) | 2024.07.26 |
Thiaoouba Prophecy (0) |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