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에 관하여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불'

by 슬완빠(papa is ok) 2024. 9. 9.
반응형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저서 젠더 트러블 (Gender Trouble, 1990)

젠더 이론과 페미니즘, 퀴어 이론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작품입니다.

 

버틀러는 이 책을 통해 젠더와 성(sex), 성적 지향성(sexuality) 개념을

비판적으로 재고하고, 그것들이 사회적 구성물임을 강조합니다.

젠더 트러블은 특히 성별 이분법의 해체와 젠더 수행성(performativity) 개념을

중심으로 젠더의 본질을 논의합니다.

 

이 책은 페미니즘, 퀴어 이론뿐만 아니라 철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 젠더와 성의 구분

젠더 트러블의 핵심 논의는 젠더와 성을 구분하고, 이를 사회적, 문화적으로

구성된 현상으로 설명하는 데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페미니즘은 **(sex)**을 생물학적 특성으로 보고, **젠더(gender)**

사회적, 문화적으로 형성된 역할로 이해해 왔습니다.

, 성은 태어날 때부터 결정된 생물학적 사실이며, 젠더는 그 생물학적 성을

바탕으로 사회가 기대하는 행동과 역할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그러나 버틀러는 이 구분을 비판합니다.

그녀는 성별 차이 또한 사회적 구성물이라고 주장하며, 성 그 자체도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적 맥락에서 구성된 것이라고 말합니다.

,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성 구분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 규범과

권력 구조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라는 것입니다.

성은 사회적 담론과 규범이 사람들을 특정한 방식으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담론적 실재(discursive reality)로 본다는 점에서, 성과 젠더 사이의

전통적인 구분을 무너뜨립니다.

 

2. 젠더 수행성(Performativity)

버틀러의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젠더 수행성(gender performativity)입니다.

그녀는 젠더가 고정된 본질적 정체성이 아니라, 반복되는 사회적 행위의 결과로

형성된다고 주장합니다.

 

, 우리가 '남성다움'이나 '여성다움'을 표현하는 방식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사회적 규범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수행은 사회적 규칙과 기대에 따라 반복되며, 젠더 정체성은

마치 특정 역할을 연기하듯이 형성됩니다.

 

버틀러는 우리가 '남성적'이거나 '여성적'이라는 정체성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젠더가 규정된다고 보았으며, 이 수행은 고정된 정체성이 아니라 변화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 젠더는 고정된 내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행위를 통해 규정되는 일종의 행위적 실천(performative practice)입니다.

 

3. 젠더 이분법의 해체

버틀러는 성별 이분법에 대한 문제점을 강조합니다. 전통적으로 사회는

남성과 여성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 두 가지 성별이 서로 상호 배타적이고,

하나가 다른 하나를 규정한다고 여겨 왔습니다.

하지만 버틀러는 이러한 이분법이 매우 제한적이고 억압적이라고 비판합니다.

그녀는 성별의 구분 자체가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구분이 개인의 젠더 정체성을 규정하고 억압한다고 봅니다.

 

버틀러는 이러한 이분법적 구분을 해체하려고 하며,

비규범적 젠더(non-normative gender) 표현과 퀴어 정체성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분법을 넘어 다양한 젠더 정체성과 성적 지향성이 존재하며,

이를 억압하는 사회적 구조는 권력의 산물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젠더와 성별 구분은 특정한 권력 구조가 특정 정체성을 우위에 두고

다른 정체성을 배제하는 메커니즘의 일부라는 것입니다

 

4. 규범과 권력의 문제

버틀러는 젠더 트러블에서 젠더 규범이 어떻게 권력과 얽혀 있는지를

논의합니다.

그녀는 미셸 푸코의 권력 이론을 바탕으로, 젠더와 성적 지향성에 대한

사회적 규범이 단순히 문화적 현상이 아니라 권력의 작동 방식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젠더와 성별은 권력 구조 속에서 만들어지고 유지되며,

이 구조는 특정한 젠더 표현을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것으로 만들고,

다른 표현을 비정상적이거나 배제해야 할 것으로 규정합니다.

 

따라서 젠더 규범은 개인의 자율성을 억압하고, 특정한 방식으로만 존재할

수 있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이성애 중심주의(heteronormativity)나 전통적인 성별 역할에

얽매인 규범은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특정 방식으로 규정하며, 그 틀을

벗어나는 젠더 표현은 비정상적이라고 간주합니다.

버틀러는 이러한 권력 관계를 문제 삼으며, 비규범적 정체성들이

억압받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는 사회를 제안합니다.

 

5.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젠더 트러블에서 버틀러는 전통적인 페미니즘 담론에 대한 비판도

제기합니다.

그녀는 많은 페미니즘 이론이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고정된 것으로

가정하며, 이로 인해 또 다른 배제와 억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페미니즘은 여성의 경험을 일반화하고, 이성애

중심적이며, 백인 여성의 경험을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다양한 여성들의 경험을 포괄하지 못하고,

교차하는 억압 구조들을 간과할 수 있다는 문제를 지적합니다.

 

버틀러는 페미니즘이 여성이라는 범주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젠더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서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페미니즘은 젠더나 성적 지향성, 인종, 계급 등 다양한 차별과 억압을

고려한 교차성(intersectionality)의 관점에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6. 퀴어 이론에의 기여

버틀러는 젠더 트러블에서 퀴어 이론의 중요한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퀴어 이론은 젠더와 성적 지향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비판하고,

비규범적 성적 정체성과 젠더 표현을 인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버틀러는 젠더와 성적 지향성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며,

사회적 규범에 의해 강제되는 것임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그녀는 퀴어 정체성이 규범적 사회 질서에 도전하는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정체성들이 억압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퀴어 이론은 젠더와 성적 지향성의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며,

다양한 정체성들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관계를 강조합니다.

결론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은 젠더와 성적 지향성에 대한

전통적인 사고방식을 근본적으로 뒤흔든 중요한 저작입니다.

버틀러는 젠더가 고정된 정체성이 아니라 사회적 수행의 결과라는

점을 강조하며, 젠더 수행성과 비규범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논의를 전개했습니다.

 

또한, 그녀는 젠더 이분법을 해체하고, 다양한 젠더와 성적 지향성을

포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권력과 규범이 어떻게 개인의 정체성을

억압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버틀러의 저작은 페미니즘, 퀴어 이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젠더와 성적 지향성에 대한 보다 유연하고 포괄적인 이해를

촉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