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에 관하여

마이클 샌델(Michael J. Sandel)의 '공정하다는 착각'

by 슬완빠(papa is ok) 2024. 8. 23.
반응형
 

 

 

들어가며

 

마이클 샌델(Michael J. Sandel)의 **『공정하다는 착각:

능력주의는 모두에게 같은 기회를 제공하는가』

(The Tyranny of Merit: What’s Become of the Common Good?)**는

현대 사회에서 널리 퍼진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이 책에서 샌델은 능력주의의 문제점을 고찰하며, 공정성과 도덕적 책임의

관점에서 능력주의가 어떻게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사회 구성원 간의

연대와 공동선을 약화시키는지를 설명합니다.

1. 책의 배경과 목적

샌델은 이 책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퍼져 있는 능력주의가

공정하다는 믿음이 실제로는 착각에 불과하다고 주장합니다.

 

능력주의는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사회적 성공을 이룰 수 있다는

이념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그러나 샌델은 이러한 능력주의가 오히려 사회적 불평등을 강화하고,

성공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 도덕적 우월감과 열등감을 조장한다고

비판합니다.

 

2. 능력주의의 정의와 기본 원리

**능력주의(Meritocracy)**란 개인의 능력과 노력이 사회적 지위와 보상을 결정짓는

사회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기본 원리에 기초합니다:

  • 공정한 경쟁: 모든 사람은 동일한 출발점에서 경쟁해야 하며, 그 결과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신념입니다.
  • 보상의 정당성: 성공한 사람은 그만큼의 보상을 받아야 하며, 이는 공정하다고 여겨집니다.
  • 책임의 귀속: 개인의 성공과 실패는 전적으로 그 개인의 책임으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원칙은 처음에는 정의롭고 공정해 보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열심히 노력해서 얻은 성공이 정당하다고 믿고, 사회적 지위가 개인의

능력을 반영한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샌델은 이러한 신념이 어떻게 사회적 불평등을 정당화하고, 심지어

심화시키는지를 분석합니다.

 

3. 능력주의의 문제점

샌델은 능력주의의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합니다.

3.1 불평등의 정당화

능력주의는 사회적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능력주의적 사고방식에서는 성공한 사람들은 그들의 능력과 노력의 결과로

성공을 거둔 것이며, 따라서 그들은 그 성공에 합당한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실패한 사람들은 능력이나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며,

그에 따라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혜택을 적게 받아도 정당하다고 여겨집니다.

 

그러나 샌델은 이러한 관점이 근본적으로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첫째, 개인의 능력과 노력이 전적으로 개인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선택할 수 없는 환경적, 유전적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능력주의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며, 이는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잘못된 근거로 작용합니다.

 

3.2 성공과 도덕적 우월감

능력주의는 성공한 사람들에게 도덕적 우월감을 심어줍니다.

사회적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자신의 성취가 오직 자신의 능력과 노력의 결과라고

믿게 되고, 이는 그들이 자신을 더 우월한 존재로 여기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성공한 사람들은 사회적 약자나 실패자들에 대한 연민이나 공감을

갖기 어려워집니다. 그들은 실패자들이 자신의 위치에 머물러 있는 것이

그들의 잘못이라고 생각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회적 연대가 약화됩니다.

 

샌델은 이러한 도덕적 우월감이 사회적 갈등을 초래한다고 지적합니다.

능력주의적 사고는 성공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의 간극을 더욱

벌어지게 하고, 사회적 불만을 증폭시킵니다. 이로 인해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와 협력, 그리고 공동체 의식이 훼손됩니다.

 

3.3 사회적 이동성의 한계

능력주의는 사회적 이동성(social mobility)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사회적 이동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샌델은 교육 시스템을 예로 들어, 능력주의적 사회에서 교육이 사회적

성공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만, 교육 기회는 이미 불평등하게 분배되어

있음을 지적합니다.

 

부유한 가정의 자녀들은 더 나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이는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공고히 하는 수단이 됩니다.

반면, 가난한 가정의 자녀들은 이러한 기회를 충분히 얻지 못하며,

이는 세대 간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킵니다.

 

능력주의는 표면적으로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회적 배경이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사회적 이동성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로 인해 능력주의는 오히려 불평등을 영속화하는 도구로 작용하게 됩니다.

 

3.4 능력주의와 공공선의 약화

샌델은 능력주의가 공공선(common good)을 약화시킨다고 주장합니다.

능력주의적 사고는 개인의 성공과 실패를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기

때문에, 사회적 연대와 협력의 중요성을 간과하게 만듭니다.

 

이는 공공의 이익보다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사회를 조장하며, 결국

사회 전체의 복지를 해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또한, 능력주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성공에 대한 자부심을 심어주는 동시에,

실패한 사람들에게는 좌절감을 안겨줍니다.

이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상호 의존성과 연대감을 약화시키며, 공동체의 해체를

가져옵니다.

샌델은 이러한 상황에서 민주주의와 사회적 정의가 위협받게 된다고 경고합니다.

 

4. 능력주의의 대안: 운의 윤리와 겸손

샌델은 능력주의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운의 윤리(Ethics of Humility)**와

**겸손(Humility)**을 제시합니다.

 

그는 능력주의가 성공을 전적으로 개인의 능력과 노력의 결과로 돌리는 대신,

운의 요소를 인정하고, 겸손한 자세를 가질 것을 권고합니다.

4.1 운의 요소 인정

샌델은 우리의 성공과 실패가 전적으로 우리의 통제 아래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이 중요하지만, 동시에 운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운의 요소를 인정하는 것은 우리가 성공에 대해 겸손한 자세를 취하고,

실패한 사람들에게 더 큰 이해와 공감을 가지게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4.2 겸손과 연대

겸손은 샌델이 제시하는 또 다른 중요한 덕목입니다.

그는 개인의 성공을 절대시하는 능력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사회 구성원들 간의

연대와 협력을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겸손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어려움과 고통에 대해 더 깊이 공감할 수 있게 하며,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샌델은 이러한 겸손과 운의 윤리를 통해, 우리가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개인의 성공에 대한 지나친 자부심이나 실패에 대한 비난보다는,

사회적 연대와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사회가 더 정의롭고 지속 가능하다고 강조합니다.

 

5. 결론: 공동선을 위한 능력주의의 재고

『공정하다는 착각』에서 마이클 샌델은 능력주의가 현대 사회에서 공정하다고

여겨지는 착각을 폭로하며, 그 이면에 숨겨진 불평등과 사회적 갈등을 고발합니다.

 

그는 능력주의적 사고가 어떻게 사회적 불평등을 정당화하고 심화시키며,

사회 구성원 간의 연대와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키는지를 설득력 있게 설명합니다.

 

샌델은 능력주의의 대안으로 운의 윤리와 겸손을 제시하며, 사회적 연대와 공공선을

추구하는 새로운 사회적 계약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운과 겸손을 통해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현대 사회에서 공정성과 정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능력주의가

진정한 공정성을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성찰하게 만듭니다.

샌델의 논의는 능력주의가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우리가 무엇을 고민하고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