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교회사

유티케스주의(Eutychianism)의 주요 내용과 교회의 대응

by 슬완빠(papa is ok) 2024. 12. 18.
반응형

유티케스주의는

5세기 중반 콘스탄티노플의 수도사 유티케스(Eutyches, 380~456)

주장한 기독론적 이단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관계를 왜곡한

사상입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두 본성을 혼합하여 하나의 본성만을 인정하는

극단적 견해로, 교회의 정통 기독론과 충돌했습니다.

1. 유티케스주의의 주요 내용

(1)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주장

유티케스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결합된 후, 인성이 신성에

흡수되거나 혼합되어 하나의 본성(monophysis)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로 인해 유티케스주의는 "단성론(Monophysitism)"으로도 불립니다.

 

(2) 주요 교리적 주장

 

가. "하나의 본성" 주장:

유티케스는 성육신 이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신성과 인성이 구별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성육신한 로고스의 한 본성"을 강조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이

신성에 흡수되어 본래의 인성을 상실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나. 신성의 우위 강조:

유티케스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인성을 축소하거나

왜곡했습니다.

그는 예수의 인성이 일반적인 인간성과 동일하지 않다고 보았으며,

예수의 인성은 신성과 결합된 후 더 이상 온전한 인간의 본성을 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다. 구원론적 함의:

유티케스주의는 예수 그리스도가 온전한 인간이 아니라고 암시함으로써,

인간 전체를 구원하기 위한 대속적 사역의 기초를 약화시켰습니다.

2. 교회의 대응

(1) 플라비아누스와 콘스탄티노플 지역 공의회(448)

콘스탄티노플 주교 플라비아누스(Flavianus)448년 지역 공의회에서

유티케스의 주장을 이단으로 규정했습니다.

플라비아누스는 예수 그리스도가 "혼합되지 않고, 변화되지 않으며,

분리되지 않고, 나뉘지 않는" 두 본성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2) 에베소 "강도" 공의회(449)

유티케스는 자신의 주장을 방어하기 위해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의 지원을

받아 449년 에베소 공의회를 소집했습니다.

이 공의회는 유티케스의 주장을 지지하며, 플라비아누스를 파문하고

정통 신학자들을 탄압했습니다.

그러나 이 공의회는 폭력적이고 불법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후 "강도 공의회(Robber Council)"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3) 칼케돈 공의회(451)

451년 칼케돈 공의회는 유티케스주의를 공식적으로 정죄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두 본성을 분명히 정의했습니다.

 

칼케돈 신조는 다음과 같이 선언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혼합되지 않고, 변화되지 않으며, 분리되지 않고,

나뉘지 않는" 방식으로 신성과 인성을 가지셨다.

 

그는 완전한 하나님이시며, 완전한 인간이시고, 두 본성은 구별되지만

하나의 위격으로 존재한다.

 

칼케돈 공의회는 기독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기독론적 선언 중 하나로,

정통 기독론의 기준을 확립했습니다.

 

3. 유티케스주의의 역사적 영향

(1) 동방 교회의 분열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 이후, 일부 동방 교회(특히 이집트, 시리아, 아르메니아)

유티케스주의와 유사한 단성론적 입장을 유지하며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했습니다.

이로 인해 단성론을 따르는 교회(: 콥트교회,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동방 정교회 및 서방 교회와 분리되었습니다.

 

(2) 정통 기독론의 확립

유티케스주의와의 논쟁은 칼케돈 신조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조화를

명확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는 이후 교회가 기독론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3) 교회의 신학적 발전

유티케스주의는 그리스도의 본성을 혼합하거나 왜곡하는 위험성을 경고하며,

교회가 신학적 균형을 유지하도록 자극했습니다.

 

칼케돈 공의회는 이후의 기독론 논쟁에서 정통 신학의 기준점으로 작용했습니다.

 

4. 유티케스주의가 주는 시사점

(1)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과 인성의 중요성

유티케스주의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을 축소함으로써, 구원의 본질을 훼손할

위험이 있었습니다.

오늘날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완전한 하나님이시며 완전한 인간이심을 균형 있게

이해하고 가르쳐야 합니다.

 

(2) 신학적 균형의 필요성

유티케스주의는 신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인성을 왜곡한 사례로,

신학적 극단주의의 위험성을 보여줍니다.

교회는 신학적 논의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성경에 충실한 교리를 발전시켜야 합니다.

 

(3) 교회의 일치와 분열의 교훈

유티케스주의와 단성론 논쟁은 교회 분열의 원인이 되었으나, 이를 통해 정통 교리가

명확히 정립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오늘날 교회는 신학적 차이를 존중하면서도, 성경적 진리를 바탕으로 교회의 일치를

추구해야 합니다.

 

(4) 성경적 진리의 기준

유티케스주의는 성경의 가르침과 사도적 전통에 충실하지 않은 신학적 사상이

어떻게 이단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오늘날 교회는 모든 신학적 논의와 교리 형성에서 성경적 진리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합니다.

결론

유티케스주의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관계를 왜곡한 이단으로,

초대 교회가 정통 기독론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도전이 되었습니다.

 

칼케돈 공의회는 이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두 본성과 한 위격을 명확히 정의하며,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를 확립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유티케스주의의 역사적 교훈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신학적 균형과 성경적 진리를 수호하며, 교회의 일치를

추구해야 할 필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