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에 관하여

장 폴 사르트르의 『구토』

by 슬완빠(papa is ok) 2024. 9. 22.
반응형

장 폴 사르트르의 소설 구토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인간 존재의 본질과 무의미함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주인공 앙투안 로캉탱이 자신의 실존에 대한 혼란과

그로 인한 구토감을 느끼는 과정을 일기 형식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작품은 1930년대 프랑스의 작은 도시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배경으로

하지만, 그 내용은 시공을 초월해 인간의 보편적인 존재 문제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소설의 줄거리

주인공 앙투안 로캉탱은 프랑스의 작은 항구 도시에서 혼자 살아가며

18세기 정치가인 롤봉 씨에 대한 전기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그는 한때 활동적이고 사회적 삶을 살았지만, 이제는 완전히 은둔에 가까운

활을 하고 있습니다.

그의 일상은 카페에 가서 책을 읽거나 도시를 산책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일상 속에서 로캉탱은 점차 자신의 존재에 대한 불편함과

혐오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로캉탱은 자신의 일상적인 경험 속에서 알 수 없는 무거운 감정,

구토를 자주 경험하게 됩니다. 이 구토는 단순한 신체적인 증상이 아니라,

사물들과 자신의 존재가 본질적으로 무의미하고 부조리하다는 깨달음에서

비롯된 정신적인 혐오감입니다.

그는 사물들이 더 이상 익숙하거나 편안하게 느껴지지 않고, 모든 것의 존재가

불필요하고 무의미하다고 느끼기 시작합니다.

로캉탱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인간이 본질적으로 아무 의미도 없는 존재임을

깨닫게 됩니다. 그는 인간이란 그저 우연히 존재하게 된, 아무런 본질도 없는

존재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가 느끼는 구토는 바로 이 존재의 무의미함을

인식한 데서 오는 감정적 반응입니다.

실존에 대한 깨달음

소설의 중심 테마는 실존주의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

생각입니다. 사르트르는 인간이 미리 정해진 본질이나 목적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존재한 후에 자신이 무엇이 될지 선택하고 그에 따라 본질을

만들어 간다고 주장합니다.

이 소설에서 로캉탱이 겪는 혼란과 구토감은 바로 이 점을 깨달아가는 과정입니다.

 

로캉탱은 주변의 사물들이 그저 단순히 거기존재하고 있을 뿐이며, 그것들이

왜 존재하는지, 혹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존재하는지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는 나무 뿌리를 바라보며 그것의 존재에 대한 혐오감을 느낍니다.

그 나무 뿌리는 그저 거기에 있고, 그것을 보는 로캉탱 또한 그저 거기에 존재할

뿐입니다. 여기서 로캉탱은 인간 존재도 마찬가지로 그저 우연히존재하게 된

것임을 깨닫습니다.

 

타인과의 관계

로캉탱은 또한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불편함을 느낍니다.

그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친밀함이나 유대감을 느끼지 못하며, 오히려

타인들이 자신에게 강요하는 사회적 역할에 반감을 갖습니다.

그가 경험하는 소외감과 고립감은 그가 타인들과의 관계를 끊어내고자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은 그에게 불편함을 주고, 그 속에서

자신의 실존에 대한 의문은 더욱 깊어집니다.

 

로캉탱은 과거에 연인인 아니와의 관계를 회상하며, 그 관계 또한 결국

허무한 것이었음을 깨닫습니다. 그가 과거의 관계에 집착하거나, 현재의

타인들과 관계를 맺으려는 시도는 모두 실패로 돌아갑니다.

이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고독한 존재이며, 타인들과의 관계도 그 고독을

해소할 수 없다는 실존주의적 관점을 반영합니다.

구원의 가능성

 

소설 후반부에서 로캉탱은 문학을 통해 구원을 찾으려는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그는 예술이 일종의 영원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간의 무의미한 존재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음악을 들으면서 순간적으로 자신이 느낀 구토감을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은

희망을 품게 됩니다. 음악 속에서 그는 일시적으로 자신의 존재의 무게에서

벗어나 예술의 질서 속에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로캉탱은 이 경험을 통해 예술이 인간 존재의 허무함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단지 순간적인 해방감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그는 여전히 자신의 존재의 무의미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것을 완전히 극복할 수는 없습니다.

 

철학적 의의

사르트르의 구토는 실존주의 철학의 핵심적인 주제를 문학적으로 풀어낸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에 대한 불안과 혼란을 어떻게

경험하고, 그로부터 어떻게 해방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사르트르는 인간이 스스로의 존재를 직면하고 그 무의미함을 인정할 때

비로소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인간이 사회나 타인에게 부여받은 역할이나 가치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과정을 통해 실현됩니다.

 

로캉탱이 경험하는 구토감은 단순한 혐오나 거부감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무의미함을 인식한 데서 오는 실존적 불안입니다.

 

사르트르는 이러한 불안이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첫걸음이라고 주장합니다.

인간은 아무런 의미도 목적도 없이 세상에 던져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의 의미를 스스로 만들어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론

구토는 주인공 로캉탱의 내면적 여정을 통해 인간 존재의 무의미함과

그로 인한 고통을 탐구하는 작품입니다.

로캉탱은 자신의 실존을 인식하고 그로 인해 깊은 구토감을 느끼지만,

결국 예술을 통해 잠시나마 구원을 찾으려는 시도를 합니다.

사르트르는 이 소설을 통해 인간이 자기 자신을 직면하고,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임을 깨닫게 하려 합니다.

 

이 작품은 인간 실존의 무거움과 그로 인한 고통을 그리는 동시에,

그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자유와 의미를 찾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구토는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작품이며,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하는 문학적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