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31

20세기 이후 유명한 칼빈주의자들과 그들의 사상 20세기 이후 칼빈주의는 다양한 신학자들을 통해 발전하며 현대 신학과 교회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들은 전통적인 칼빈주의 신학을 현대적인 문제에 적용하거나, 특정 신학적 영역에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며 칼빈주의를 풍성하게 확장시켰습니다. 다음은 20세기 이후 유명한 칼빈주의자들과 그들의 주요 사상을 정리한 것입니다.1. 코르넬리우스 반틸 (Cornelius Van Til, 1895–1987) 1) 분야: 변증학 (Apologetics) 2) 주요 사상: 가. 전제주의 변증법: 모든 인간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혹은 불신)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고 주장하며, 기독교 변증은 이 전제를 드러내고 도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봄 나. 하나님 중심적 세계관: 인간의 이성은 타락으로 인해 독립적으로 하.. 2024. 12. 6.
개혁주의 교회론과 그 특징 개혁주의 교회론은 성경을 기초로 한 개혁주의 신학의 중요한 한 축으로, 교회의 본질, 기능, 구조에 대해 개혁주의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개혁주의 교회론은 주로 종교개혁자들, 특히 존 칼빈(John Calvin)의 신학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으며, 성경의 권위와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합니다. 아래에 개혁주의 교회론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였습니다.1. 교회의 본질1) 하나님의 백성: 교회는 구약에서 시작된 하나님 백성의 연속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둔 신약 공동체로 정의됩니다. 2) 그리스도의 몸: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 그리스도와 성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공동체입니다. 3) 성령의 사역: 교회의 본질은 성령의 역사에 의해 유지되며, 성령이 교회 안에서 믿음과 은혜를 나누게 합니다. 2. 교회의.. 2024. 12. 6.
성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논쟁에 대해 성 어거스틴(Augustine)과 펠라기우스(Pelagius)의 논쟁은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인간의 자유의지, 은혜, 죄, 구원에 대한 중요한 신학적 논쟁으로, 교회의 교리를 형성하는 데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논쟁을 배경, 각자의 주장과 차이점, 현대적 의의로 나누어 논의하겠습니다.1. 배경1) 시대적 배경    4-5세기 로마 제국 말기:     기독교가 공인된 이후, 신학적 논쟁이 교리 형성의 중요한 부분이 되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는 로마 제국의 쇠퇴와 사회적 불안정 속에서, 구원의 문제와 인간의 도덕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이루어졌습니다. 2) 주요 인물   가. 성 어거스틴:         - 북아프리카 출신으로 기독교 신학의 거장.         - 회심 전 마니교와.. 2024. 12. 2.
교회론에 대하여 1. 교회론의 정의교회론은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로, 교회의 본질, 역할, 구조, 그리고 사명을 연구합니다. 교회는 헬라어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에서 유래하며, 이는 "불러냄을 받은 자들의 모임"을 의미합니다. 교회는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속에서 세상 속에 존재하며,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 설명됩니다. 교회론은 성경의 교회 개념을 중심으로 시대에 따른 교회의 발전과 신학적 특징을 탐구합니다.2. 신구약 성경에서 나타난 교회와 관련된 호칭들1) 구약의 교회 개념구약에서 "교회"는 명시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나, 하나님이 선택한 백성 이스라엘이 교회의 원형으로 간주됩니다.호칭들:회중(קָהָל, Qahal): 하나님 앞에 모인 하나님의 백성 (신명기 4:10).공회(עֵדָה, Edah).. 2024. 12. 2.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개혁주의, 복음주의,근본주의에 대해 기독교 역사에서 개혁주의, 복음주의, 그리고 근본주의는 각기 독특한 신학적 입장과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강조점과 특징을 가지고 발전해왔습니다. 아래에서 이들 세 흐름의 개념, 발생 배경, 주요 주장, 그리고 상호 차이점을 논합니다.1. 개혁주의 (Reformed Theology) 1) 개념:개혁주의는 16세기 종교개혁에서 출발한 기독교 신학적 전통으로, 특별히 칼뱅주의(Calvinism)를 중심으로 발전한 체계적인 신학 사상입니다. 하나님의 주권과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며, 구원의 교리를 체계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2) 발생 배경:가. 종교개혁 시대 (16세기 초):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95개조 반박문(1517년) 이후 유럽 전역에서       가톨릭 교.. 2024. 12. 2.
한국 천주교와 이승훈의 관계 1. 한국천주교회의 시작한국천주교회는 그 시작을 이 승훈이 북경에서 영세를 받는 사건으로잡는다.이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영세를 받았기 때문이다.2. 이승훈은 ?1756년 영조32년 강원도 평창의 양반가문에서 태어났고,25세 때에 진사시험에 합격 후 평택지방의 현감을 지냈으며정 약용의 매제가 되었고 이 벽과는 사돈의 관계였다. 이들 모두는 남인에 속한 학자들로 서학에 심취한 진보적 인사들이었다.이승훈의 아버지 이동욱이 중국에 가는동지사겸 사은사인 황인점의서장관으로 북경에 가게 되었는 데, 이 때를 이용하여서학을 연구하던이들이 이승훈을 동지사 일행에 딸려 보내 중국으로부터 서학 서적을구해오는 계획을 세운 바, 북경에 도착한 이승훈은 그 곳의 천주교 신부들과교제를 가지면서 서양의 여러 학문을 접하고 천주교에.. 2024. 1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