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신학

대속의 성질

by 초보 전도사 슬완빠(papa is ok) 2025. 9. 24.
반응형

대속(代贖, Atonement)은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값을 치르고 구속하는 행위'

의미합니다.

기독교 신앙에서 대속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형벌을 받으시고 죽으심으로써, 죄로 인해 단절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회복시킨 것을 말합니다

 

대속의 주요 성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신성 (Substitutionary Nature)

대속의 가장 핵심적인 성질은 '대신성'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 때문에 받아야 할 형벌을 우리를 대신하여(in our place)

받으셨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죄로 인해 영원한 사망에 처할 운명이었으나,

죄 없으신 예수님께서 그 형벌을 대신 짊어지심으로써 우리를 구원하셨습니다.

 

2. 희생적 성격 (Sacrificial Nature)

대속은 단순한 형벌이 아니라, 죄를 없애기 위한 희생 제사의 성격을 가집니다.

구약 시대에는 동물의 피를 흘리는 제사를 통해 죄를 속죄했지만, 예수님은 죄 없는

어린양으로서 자신의 몸과 피를 단 한 번의 영원한 제물로 바치셨습니다.

이로써 모든 제사의 필요성을 완성하고 영원한 구원을 이루셨습니다.

 

3. 화해적 성격 (Reconciliatory Nature)

대속의 목적은 단순히 형벌을 없애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죄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갈라놓는 장벽이었는데, 예수님의 대속은 이 장벽을 허물고

하나님과 인간을 화목하게 하는(reconciling) 역할을 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은 하나님의 공의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온전히 드러내어 화해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4. 유일성과 완전성 (Singularity & Perfection)

예수님의 대속 사역은 유일하고 완전한 것입니다. 그 어떤 인간의 노력이나 선행으로도

죄를 해결할 수 없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만이 죄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의 죽음은 모든 죄를 씻는 데 충분하며, 더 이상의 대속 행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조직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 그리스도의 직무  (1) 2025.09.19
예수 그리스도의 신분  (0) 2025.09.19
예수 그리스도의 특성  (0) 2025.09.19
예수 그리스도의 명칭  (0) 2025.09.15
죄의 근원과 원죄, 실제적 죄  (0) 2025.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