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명에 이르는 회개란?
생명에 이르는 회개는 복음의 은혜이니, 이 교리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의 교리와 마찬가지로 모든 복음의 사역자에 의해 전파되어야 한다.
2. 참된 회개
1) “생명에 이르는 회개”라는 교리에서 우리는 회개가 생명(영생)을
가져오는 공로(功勞)로 되는 듯이 잘못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영생의 생명은 그리스도 안에만 있는 것이다. 그리스도 밖에는 구원이 없다
(행4:12).
2) 참된 회개를 복음적 은혜라고 부름은 그것이 인위적(人爲的)이 아니고,
하나님의 뜻대로(고후7) 성립되는 근심이며, 또한 믿음과 동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뜻대로”란 말은 ‘하나님의 요구대로’또는 ‘하나님 앞에 합당하게'란
뜻인데, 이는 하나님이 이루어 주시는 것이다
3) 그러므로 우리는 사람으로 하여금 회개케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간구해야 된다. 그러나 회개할 책임은 우리 인간측에 있기 때문에 하나님의
명령은 “회개하라”고 하신다(슥1:3, 마4:17 참조).
회개는 단순히 후회가 아니다. 가룟 유다도 강하게 후회하였으나, 그에게는
믿음이 동반되지 못하였다(마27:3-5 참조).
3. 회개의 역할
1) 회개가 그리스도를 영접하도록 하는 방편은 된다.
사람이 자아(自我)를 부인(거부)하기 전에는 그리스도를 영접할 수 없다
(마 16:24).
사람이 자기를 부인함은 성령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죄상을 바로 보고
자기 자신을 미워할 때에 되어진다.
2) 구약의 “상한 심령”(시34:18, 51:17)이란 것은 자아를 포기하고
하나님을 택하는 그 심리이다(잠28:13-15 참조).
4. 죄의 역할
죄는 작은 죄든지 큰 죄든지 마찬가지로 무한히 거룩하신 하나님을 노여우시게
한다.
약2:10에 “누구든지 온 율법을 지키다가 그 하나에 거치면 모두 범한 자가 되나니”라고
하였다.
1) 하나님은 무한히 거룩하시니만큼 작은 죄도 직접적으로 그의 무한하신 성결과
충돌된다. 작은 도화선(導火線)이 큰 불을 초래함과 같은 것이다.
2) 사람이 보기에는 작은 죄라도 실상 그 원천에 있어서는 큰 악이요, 부패인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보기에는 작은 죄(혹은 한 가지 범행)일지라도 그것은 영계에서
어떤 의미에서는 크고 많은 범행과 마찬가지이다.
3) 영국의 순교자 브래드포드(Bradfofd)는 결박당한 사형수(死刑囚)가 자기의 집
앞으로 끌려가는 것을 보고 말하기를 “저기 브래드포드가 끌려가는구나!”라고 하였다.
그의 이 발언은 자기도 실질에 있어서 그 사형수보다 나은 것이 없다는 고백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과 이혼에 대하여 (3) | 2025.06.26 |
---|---|
주일 성수에 대하여 (4) | 2025.06.26 |
중보자의 직무와 성품에 대하여 (4) | 2025.06.25 |
행위언약과 은혜언약에 대하여 (2) | 2025.06.25 |
하나님의 섭리에 대하여 (2)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