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3

유아세례에 대한 성경적 근거 유아세례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성경에 명시적으로 "유아에게 세례를 주라"는 명령이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신학적 연결고리를 통해 지지됩니다. 1. 언약의 연속성 (Continuity of the Covenant)유아세례의 가장 강력한 근거는 구약의 언약과 신약의 언약 사이의 연속성입니다. 1) 구약의 할례: 구약에서 할례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주신 언약의 표징이었습니다. 할례는 성인뿐만 아니라 태어난 지 8일 된 모든 남자아이에게 행해졌습니다(창세기 17:10-14). 이는 유아가 하나님의 언약 백성에 포함되었음을 보여줍니다. 2) 신약의 세례: 신약은 세례를 할례의 영적인 성취로 봅니다(골로새서 2:11-12). 그리스도 안에서 육체적 할례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 2025. 10. 10.
하나님의 이름 구약과 신약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름은 단순한 호칭을 넘어, 그분의 본질과 성품, 그리고 인간과의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구약 성경에 나타난 이름구약은 히브리어로 기록되었으며, 하나님의 이름은 주로 그분의 능력, 위엄, 언약을 강조합니다. 1) 엘로힘(Elohim): - 뜻: '하나님' 또는 '신들'을 뜻하는 복수형 명사로, 하나님의 창조 능력과 초월적인 위엄을 강조합니다. 성경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하나님의 이름입니다. - 예시: "태초에 **하나님(엘로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창세기 1:1) 2) 야훼(Yahweh) 또는 여호와(Jehovah): -뜻: '스스로 있는 자', '존재하게 하는 자'를 뜻하는 하나님의 가장 고유하고 신성한 이름입니다. 모세.. 2025. 10. 9.
하나님의 속성 하나님은 기독교 신앙에서 우주의 창조주이자 유일한 주권자로 이해되는 초월적인 존재입니다. 인간의 언어로는 그분의 본질을 온전히 설명할 수 없지만, 성경을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주요한 속성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초월적이고 절대적인 속성하나님은 피조 세계를 초월하여 홀로 계시는 분으로, 그분의 본질은 인간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위대하고 절대적입니다. 1) 창조주 (Creator): 우주의 모든 존재를 무에서 유로 창조하신 근원이시며, 모든 만물의 주인이십니다. 2) 전지전능 (Omniscience & Omnipotence): 모든 것을 아시는(전지) 분이며, 모든 것을 하실 수 있는(전능) 분입니다. 3) 편재 (Omnipresence): 시간과 공간에 갇히지 않고 어디에나 동시에 존.. 2025. 10. 9.
교회의 속성 교회의 속성(attributes)은 교회의 본질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특성들을 말합니다. 이는 역사적으로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에 근거하여 ‘'하나됨', '거룩함', '보편성', '사도성'**의 네 가지로 정리됩니다. 1. 하나됨 (Unity)교회는 본질적으로 하나입니다. 이는 모든 신자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을 통해 한 몸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교회의 하나됨은 특정 교파나 조직의 통일에 국한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영적인 연합체임을 나타냅니다. 2. 거룩함 (Holiness)교회는 거룩합니다. 이 거룩함은 교회의 구성원들이 모두 완전하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교회는 죄로부터 분리되어 하나님께 속한 공동체이기에 거룩하.. 2025. 10. 1.
칭의의 요소 칭의(稱義, Justification)는 하나님께서 죄인을 의롭다고 선언하시는 법률적 행위입니다. 이 선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핵심적인 요소에 근거합니다. 1. 칭의의 근거: 예수 그리스도의 의칭의는 죄인 자신의 어떤 행위나 선행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완벽한 의(義)가 그 근거가 됩니다. 1)예수님의 의로운 삶: 예수님은 율법의 모든 요구를 완벽하게 순종하며 죄 없는 삶을 사셨습니다. 2) 십자가에서의 대속적 죽음: 죄를 범한 인간을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형벌을 받으심으로써 하나님의 공의를 온전히 만족시키셨습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의 이 완벽한 의를 믿는 사람에게 전가(Imputation)하십니다. 즉, 죄인의 행위가 아닌, 예수님의 의를 그 사람의 것으로 인정하고 법적으로 .. 2025. 9. 30.
성화의 특성 성화(Sanctification)는 하나님께서 믿는 자들을 죄에서 분리시키고, 점진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도록 거룩하게 만드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칭의(Justification)'와는 다른 성격을 가집니다. 1. 점진성성화는 단번에 완성되는 사건이 아니라, 평생에 걸쳐 지속되는 과정입니다. 구원받은 신자가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의 능력으로 죄악된 성품을 버리고 점진적으로 거룩함에 이르러가는 과정입니다. 2. 협력성칭의가 오직 하나님의 단독적인 은혜(Monergism)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성화는 하나님과 인간의 협력(Cooperation)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성령께서 신자 안에 내주하시며 거룩하게 이끄시지만, 신자 또한 말씀에 순종하고 기도하며 죄를 멀리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3. 실.. 2025.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