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의 역사적 중요성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에게 역사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입니다. 이 지역들의 역사적 중요성을 살펴보면, 현재 러-우 전쟁에서 왜 이 지역들이 갈등의 핵심으로 떠오르게 되었는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1. 크림반도크림반도는 흑해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로, 여러 세기 동안 이 지역을 둘러싼 많은 전쟁이 있었습니다. 1) 역사적 중요성 가. 러시아 제국과 크림 전쟁: 크림반도는 1783년 러시아 제국에 의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합병되었습니다. 이후 러시아는 이 지역을 자국의 영토로 확고히 여기며 흑해 함대를 주둔시켰습니다. 19세기 중반 크림 전쟁(1853-1856)은 러시아와 유럽 국가들 간의 대규모 전쟁으로, 크림반도의 전략적 중요성을 국제적으로 각인시켰습니다... 2024. 10. 23.
러-우 전쟁의 근본 원인과 현 상태 그리고 향후 전망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흔히 "러-우 전쟁"으로 불리는 이 충돌은 단순히 군사적 갈등이 아니라 복잡한 역사적, 지정학적, 그리고 정치적 요인이 얽힌 국제적 분쟁입니다. 이 전쟁의 근본 원인과 현재 상태,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1. 러-우 전쟁의 근본 원인1) 역사적 배경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오랜 역사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키예프 루스(Kievan Rus’)라는 중세 동슬라브 국가의 계승을 두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서로 다른 해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양국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가. 소련 붕괴와 독립: 1991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우크라이나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러시아는 오랫동안 우크라이나를 자국의 영향권 아래 두고 싶어 했습니다. .. 2024. 10. 23.
둘째 사망에 들어갈 자의 죄에 대하여 이에 대해서는 계시록 21:8에 말씀하고 있는 바 일곱가지 죄로 나뉜다.1. 두려워하는 자 무서워서 겁이 나서 아무것도 못하는 자 2. 믿지 아니하는 자의지하지도 못하며, 맡기지도 못하는 자 3. 흉악한 자성격이 난폭하고 험상궂은 모양을 한 자 4. 행음자들부정하게 남녀 관계를 행하는 자 5. 술객등점치는 자,무당(무속 신앙인들) 6. 우상 숭배자들하나님 외의 것을 높여 우러러 공경하는 자 7. 모든 거짓말하는 자들모든 거짓을 꾸며 참인 것처럼 말하는 자 2024. 10. 22.
마음에서 나오는 죄에 대하여 마음에서 나오는 죄는 마가복음 7:21-23에서 말씀하고 계십니다.1. 악한 생각 법 질서에서 사람들이 일정하게 가지는 견해를 ‘사상’이라고 하고,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찾아가는 정신적 작용을 ‘사고‘라 하며, 마음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을 ’관념‘이라고 한다.  2. 음란성적으롱 음탕하고 난잡한 것을 말한다. 3. 도적질남의 것을 탐을 내어 몰래 가져가는 것 4. 살인사람을 죽이도록 미워하거나, 사람을 죽이는 것 5. 간음다른 여자와 남자와의 성적 관계 6. 탐욕욕심이 발동하여 분수에 지나치게 가지고 싶어하는 욕망 7. 악독마음이 흉악하고 독살스러운 것 8. 속임남을 속여서 속임수에 말려들게 하는 것 9. 음탕행동이 음란하며 주색에 빠진 행동 10. 흘기는 눈독한 마음을 가진 눈으로 집중하여 보는 것 .. 2024. 10. 22.
시험을 어떻게 이길 것인지 1. 자기 욕심을 줄이자 시험에 드는 원인은 언제나 나 자신에게 있음을 알아야 한다.  즉, 야고보서 1장 14절에서 16절에는 “ 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됨이니 욕심이 잉태한 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 즉 사망을 낳느니라.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속지 말라.”라고 하셨다 그러므로 욕심이 시험의 매개물임을 알고 성령으로 억제하며, 성령의 힘으로 물욕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도가 필요하다 2. 시험될 것을 피하라‘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란 기도의 뜻은 시험이 올 때에 이기게 해 달라는 기도와 우리를 유혹에 들게 하려고 기다리고 있는 모든 사물에 가까이 하지 않게 해 달라는 기도이어야 한다. 데살로니가 전서 5:22에 “악은 모양이라도 버리라”고 했으니 .. 2024. 10. 22.
로마사를 기록한 장소와 시기 1. 로마서를 기록한 장소에 관한 의견1) Greijdanus로마서가 고린도에서 기록되었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는 로마서 16장 1,2절의 ‘뵈뵈’에 대한 언급을 보고, 바울이 이 서신을 기록할 때에 고린도에 있은 듯하며, 바울이 뵈뵈를 천거하면서 로마교회에 부탁하기를 잘 영접하라고 하였으니, 뵈뵈가 이 서신을 가지고 로마로 가게 되었던 것 같다고 한다. 뵈뵈는 겐그리아 교회교인이었는 데, 겐그리아는 고린도에 가까운 항구도시였다. 2) 바울이 마케도니아와 아가야에서 구제연보를 모아 예루살렘을 향하여 떠나려는 계획(롬 15:22~29)이 보이는 데, 이 점에서 로마서를 쓴 곳이 마케도니아 든지 헉은 아가야라고 판단된다. 바울이 롬 16:23에서 ‘가이오’란 사람의 문안을 로마교회에 전하였는 데,가이오는 .. 2024.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