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로마교회의 설립목적이 무엇인지 로마교회의 설립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1. 신앙의 전파: 기독교 신앙을 전파하고, 신자들의 신앙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2. 교회의 통합: 전 세계의 기독교인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교회의 일치를 도모하는 역할을 합니다. 3. 도덕적 지도: 사회와 개인의 도덕적, 윤리적 삶을 이끌고, 정의와 평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4. 문화적 영향력: 기독교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문화와 교육의 발전을 지원합니다. 5. 구원의 길: 신자들에게 구원의 길을 제시하고, 영적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목적을 통해 로마교회는 역사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쳐왔습니다.성경에서 언급하고 있는 로마교회 설립에 관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 2024. 10. 20. 바울이 로마사를 기록한 것이라는 내,외적 증거 로마서를 기록한 사람이 사도 바울이란 증거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외적 증거당대의 세계교회들이 대표자들로 받들었던 3대 교부는 다 함께 2세기 때 사람들인데, 이들이 로마서를 바울의 글로 알고 인용한 바이를 통해 로마서는 바울의 기록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이레네오(Irenaeus)는 히브리서 1장1절과 9장5절을 바울의 저작으로믿고 인용하였으며,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도 11장22절과6장2절을 바울의 문맥으로 믿고 인용하였고,터툴리안(Tertullian)도 7장과 9장 5절을 사도바울의 글로 알고 인용한 바있다. 2. 내적 증거로마서 첫머리에 바울의 이름이 명백히 기록되어 바울의 저작임을 밝히고 있으며, 글체가 바울의 모든 서신에 나타난 내용과 같았으며,이에 따라 히브리서도 사도.. 2024. 10. 20. 한국 초기 선교사 R.A Hardie에 대하여 R.A. 하디(Robert A. Hardie)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활동한 한국의 초기 선교사 중 한 명으로, 그의 사역은 한국 기독교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습니다. 한국의 대부흥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이며, 공중앞에서 죄를 고백하고 합심하여 통성으로 드리는 기도에 대한 중요성, 그리고 성경공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1. 생애 및 배경1) 출생과 교육: R.A. 하디는 1860년대에 태어났으며, 미국에서 신학 교육을 받았습니다. 그는 선교사로서의 소명을 가지고 한국으로 파송되었습니다. 2) 한국 선교: 하디는 1888년에 한국에 도착하여 선교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한국의 문화와 언어를 배우며, 지역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2. 주요 사역1) 교회 설립: 하디는.. 2024. 10. 16. 교회들의 연합운동에 대하여 1, 교회들의 연합운동이란?종교개혁 이전까지는 동방교의 분리를 제외하고 로마카톨릭교회로 하나가 되어 있었으나, 교리적 탈선등으로 인해 신 ,구교의 분리가 일어났고, 그 후 카톨릭교회는 ‘반 종교개혁’으로 더욱 더 강한 결속을 이루었으나 개신교는 도르트회의 이후 교회연합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았는 데, 20세기에 이르러 개신교의 연합 나아가서 구교까지도 포함시키려는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는 데 이를 연합운동이라 합니다.2. 연합운동들이 대두하여 활발하게 된 이유1) 그동안 잠잠했던 세계선교를 신교가 다투어 19세기 말부터 시작함으로 선교활동상 범세계적인 교회 협력체의 필요성을 절감했기 때문이고 2) 20세기의 시대적 특성이 조직사회요, 국가 연합체제의 사회이기 때문에 교회도 이를 함께 느꼈기 .. 2024. 10. 16. 미국의 독립전쟁 이후의 교회의 교파에 대하여 1. 장로교회 1788년에 이르러 처음으로 총회가 필라델피아에서 창립되었으나, 1811년에 컴버랜드 장로교회가 분열되어 나가고,1838년에는 회중교회의 배경을 가진 뉴 헤븐 신학에 대한 의견 대립으로 총회는 신구 양파로 분열되었다.구파의 중심은 프린스톤 신학교로 전통적인 칼빈주의를 고수하며, 신파는 뉴욕의 유니온 신학교를 중심으로 진보적 입장을 취하였다.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구파 교회는 노예문제로 북장로교회와 남장로교회로 양분되었으나, 남북전쟁 말기에 북부의 신구 양파는 1869년 드디어 재합동을 하게 되었다. 1929년 프린스톤 신학교의 메쳔교수가 신학적 좌경을 이유로 필라델피아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를 세우고 이어서 1938년에 정통장로교회가 분리되어 나가고, 다시 종말론과 기독교인의 자유 등의 이슈로.. 2024. 10. 16. 1907년의 한국교회의 대부흥운동에 대하여 1907년 한국교회의 대부흥운동은 한국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는 사건으로, 기독교 신앙의 부흥과 사회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운동은 1907년 1월 13일부터 2월 24일까지 평양에서 개최된 부흥회로 시작되었습니다.1. 배경 1) 사회적 불안정: 1900년대 초,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의 위협과 사회적 혼란 속에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변화를 갈망하게 만들었습니다. 2) 교회의 성장: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한국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교회가 급격히 성장하였고, 신자 수가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신앙의 깊이가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2. 대부흥운동의 전개 1) 부흥회의 시작: 평양의 장대현 교회에서 시작된 이 부흥회는 미국 선교사들, 특히 .. 2024. 10. 16.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7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