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29 주기도문의 교훈 주기도문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직접 가르쳐주신 기도문으로, 기독교 신앙과 기도의 본질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기도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교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 인식 주기도문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라는 말로 시작하여, 하나님을 멀리 계신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사랑과 돌봄의 아버지로 인식하게 합니다. 는 신자와 하나님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강조합니다. 2. 공동체적 신앙 강조 ‘우리’라는 표현이 반복되어, 주기도문은 개인의 기도를 넘어 공동체 전체의 평화와 복지를 위한 기도임을 보여줍니다. 신앙이 개인적 차원을 넘어 모두를 위한 것임을 가르칩니다. 3. 하나님의 뜻과 나라를 구함 “나라가 임하시오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라는.. 2025. 4. 22. 바울의 삶: 회심 전과 회심 후 1. 회심 전:바울(사울)은 유대교에 대한 열정이 강했던 전형적인 유대인이었습니다. 그는 율법을 철저히 준수하며, 유대 민족의 정체성과 선민 의식을 자랑스럽게 여겼습니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초기 기독교인들을 박해하며, 그들을 체포하기 위해 대제사장에게 공문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했습니다(행 9:1-2). 그는 율법 교육을 받은 엘리트로서, 하나님을 향한 열심이 있었지만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는 부족했습니다. 2. 회심 후: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난 후, 바울은 극적인 변화를 경험했습니다(행 9:3-6). 그는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하고, 복음의 변호자로 변모했습니다. 회심 직후 바울은 다메섹에서 복음을 전파하며 유대인들을 설득했고, 이후 아라비아에서 묵상과 복음.. 2025. 4. 13. 한국교회에서 에큐메니컬과 복음주의의 관계에 대하여 1. 한국교회에서 에큐메니컬과 복음주의의 관계한국교회는 20세기 초 복음주의(보수주의) 신앙을 바탕으로 시작된 이후, 다양한 신학적 흐름 속에서 성장해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에큐메니컬 운동과 복음주의 운동은 한국교회 내부에서 중요한 두 흐름으로 자리 잡았고, 이 둘의 관계는 협력과 갈등을 반복해왔습니다. 에큐메니컬과 복음주의는 서로 다른 신학적 입장과 사역의 초점을 가지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기독교 신앙의 본질과 교회의 역할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연결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에큐메니컬과 복음주의의 개념(1) 에큐메니컬 운동 가. 정의: "에큐메니컬(ecumenical)"은 헬라어 "오이쿠메네(οἰκουμένη)"에서 유래한 단어로, "온 세상" 또는 "온 교회"를 의미합니다. 에큐메니컬.. 2025. 2. 6. 신사참배에 대하여 1.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와 그 역사적 배경일제강점기(1910~1945년) 동안, 일본 제국은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하면서 한국 민족의 정체성을 말살하고 일본화(皇民化) 정책을 강요했습니다. 이러한 정책의 핵심 중 하나가 신사참배 강요였습니다. 신사참배는 일본의 전통적인 신토(神道) 의식으로, 일본 천황과 일본 신화에 나오는 신들을 숭배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단순한 종교적 의례를 넘어, 일본의 국가주의와 천황제 이념을 강요하는 정치적 수단이었습니다. 2. 신사참배의 목적과 의도 1) 천황 숭배와 황국신민화 정책일본은 신사를 국가의 통합과 천황 숭배의 상징으로 삼았습니다. 신사참배는 일본 천황이 신적 존재임을 인정하고, 황국신민(皇國臣民)으로서 충성을 맹세하는 행위로 간주되었습니다.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신사.. 2025. 2. 5. 신학적 갈등과 교회분열 조짐에 대하여 1. 문제제기 선교사들이 전해준 정통적이고 보수적인 신학은 해외에서 유학한 사람들이 속속 귀국하면서 서서히 흔들렸는 데, 신학적 입장과 지방색 갈림의 배경은 교세가 전국에서 가장 강했던 서북지방, 특히 평안도는 신앙적으로 극히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고, 교세가 약한 남부는 신학적으로 개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2. 갈등의 발생과 분열의 조짐1) 보수,진보간의 논란은 한국보수신학의 종교재판관역을 담당한 평양장로회신학교의 박형룡 교수와 한국교회 자유주의 신학의 기수라 할 수 있는 숭인상업학교 김재준 선생의 갈등이 대표적이다. 두 사람 사이의 논쟁은 김재준이 ’신학지남‘에 “이사야의 임마누엘 예언 연구”에서 한국교회가 전통적으로 믿어왔던 성경의 축자영감설을 거부하고 선교사들이 고루한 정통신학을 한국.. 2025. 2. 4. 분파운동중 초교파운동에 대하여 1. 운동의 시초 1927년 감리교 지도자였던 신 흥우가 YMCA 총무로 있으며, ’기독교 연구회‘라는 반선교사,반보수를 표방하면서 ’조선 기독교의 성립과 교파의식 둔화‘를 목표로 하는 단체를 만들면서부터이다.이듬해 그가 예루살렘에서 개최된 국제선교대회(IMC)에 한국 대표의 한 사람으로서 다녀와서 그 대회의 주제 가운데 하나였던 ’토착화‘신앙에 강한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도 ’한국적‘기독교의 설립을 부각하기 시작하였다. 2. 운동의 주장과 그 결말1) 이 단체는 비밀결사의 성격을 띠었고 자기들만이 애국적이고 진보적이며 이상적인 교계 지도자라고 자처하면서 교회와 기독교 기관을 구원하기 위해 그 단원들을 각 교회와 기독교 기관에 침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2) 그러나 중심인물이던 신 흥우가 이혼한 박 인덕 .. 2025. 2. 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8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