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8

머리되신 그리스도와 그의 몸된 교회의 연합에 대하여 1.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 주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의 유일하신 머리이시니, 어떤 사람이 그리스도의 대리자요, 교회의 머리라고 하는 주장은 비성경적이요, 사실에 근거가 없으며,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 욕을 돌리는 권리 침해이다. 2. 「예수 그리스도 외에는 교회의 머리가 없음」 신자들이 직접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방법은 그의 말씀(성경 말씀)을 깨달음과그 깨달은 말씀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3. 성도들의 상호간의 연합과 의무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에게 그의 영에 의해, 또는 신앙에 의해 연합된 모든 성도들은 그의 은혜, 고난, 죽음, 부활, 영광에 있어서 그와 교통하며, 또 사랑으로써 성도 상호간에 연합되어 피차의 은사와 은혜로 교통하며, 속사람과 겉사람에 있어서 그들 상호의 유익에 이바지.. 2025. 6. 27.
결혼과 이혼에 대하여 1. 일부일처제 결혼은 한 남자와 한 여자 사이에 이루어져야 한다. 즉 어느 남자가 동시에 하나 이상의 아내를 가지는 것도, 어느 여자가 동시에 하나 이상의 남편을 가지는 것도 합법적(合法的)이 아니다. ( 고전 7:2) 2. 일부일처와 자식의 증가 결혼은 남편과 아내의 상호 협조를 위해 합법적인 자식에 의한 인류의 증가와 거룩한 씨에 의한 교회의 증가를 위해 또 부정(不淨)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창2:18, 말2:15, 창9:1,고전 7:29) 3. 「결혼의 목적」 1) “불결과 문란을 풀기 위한 것”성경의 교훈은 부부의 동침은 존귀하게 여긴다. 히13:4에 “모든 사람은 혼인을 귀히 여기고 침소를 더럽히지 않게 하라. 음행하는 자들과 간음하는 자들을 하나님이 심판하시리라”고 하였다. 그것은 .. 2025. 6. 26.
주일 성수에 대하여 1. 주일의 유래 하나님은 그의 말씀에서 모든 시대의 모든 사람들에게 의무를 지우는 적극적, 도덕적, 영구적인 명령에 의하여 칠일에 하루를 안식일로 특별히 정하시어 그에게 거룩히 지키게 하셨다. 이 안식일은 창세부터 그리스도의 부활까지는 일주간의 마지막 날이었으나, 그리스도의 부활 후부터는 일주간의 첫날로 바뀌어 성경에서 주의 날이라고 칭하고 있다. 2. 안식일을 대하는 마음가짐 안식일은 먼저 사람들이 자기의 마음을 정당히 준비하고, 그들의 일상의 요무(要務)들을 정돈한 후에 그들의 세속적 직업과 오락에 대한 그 자신들의 일과 말과 생각으로부터 떠나는 전일(全日), 거룩한 휴식을 지킬 뿐 아니라, 하나님 예배의 공적, 사적 행사들에, 또는 부득이한 의무들과 자선의 의무들에 전 시간을 바치는 때에 주께 대.. 2025. 6. 26.
생명에 이르는 회개 1. 생명에 이르는 회개란? 생명에 이르는 회개는 복음의 은혜이니, 이 교리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의 교리와 마찬가지로 모든 복음의 사역자에 의해 전파되어야 한다. 2. 참된 회개1) “생명에 이르는 회개”라는 교리에서 우리는 회개가 생명(영생)을 가져오는 공로(功勞)로 되는 듯이 잘못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영생의 생명은 그리스도 안에만 있는 것이다. 그리스도 밖에는 구원이 없다(행4:12). 2) 참된 회개를 복음적 은혜라고 부름은 그것이 인위적(人爲的)이 아니고, 하나님의 뜻대로(고후7) 성립되는 근심이며, 또한 믿음과 동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뜻대로”란 말은 ‘하나님의 요구대로’또는 ‘하나님 앞에 합당하게'란 뜻인데, 이는 하나님이 이루어 주시는 것이다 3) 그러므로 우리는 사람으로.. 2025. 6. 26.
중보자의 직무와 성품에 대하여 1. 「중보자의 직무」란? 1) 개념중보자의 직무는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개재된적대 관계를 해소시키시는 사역이다(딤전2:5 참조). 2) 삼직의 사역세가지 사역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가. 그리스도는 "선지자"의 사역으로 인류에게 하나님을 알게 하시고, 나. 제사장의 사역으로 그 자신이 속죄 제물이 되시어 하나님 앞에 막힌 인류의 죄악 장벽을 없애버리시고, 다. “왕"의 사역으로 마귀와 죄와 사망과 세상을 이기셨다 3) 근거 말씀 요16:33, 고전15:56-57, 히2:1415. 요일3:84) 설명그는 이 사역들을 우리의 머리(대표)로서, 또한 구주의 자격으로서, 만물의 후사(우리를 위해 만물을 회복해 얻으신 자)로서 수행하셨고, 마침내 우리를 위한 심판자가 되실 자격으로 행.. 2025. 6. 25.
행위언약과 은혜언약에 대하여 1. 행위언약 1) 내용“행위 언약”은 하나님께서 인류의 첫 조상 아담을 상대하시고 체결하셨던 것이다. 즉, 하나님께서 아담이(그 후손을 대표하여 연대 책임을 지고) 하나님의 한 가지 계명(“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먹지 말라”는 금령)을 지키는 조건(자력으로 행하는 조건)으로 그에게 생명을 약속하신 것이다(창2:17). 그것은 지키기 어려운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 이유는, 아담은 그 때에 부패하기 전이었고, 또 그 금령은 단 한 가지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그것을 지키지 못하였다. 2) 경과사람과 맺은 최초(最初)의 언약(言約)은 행위 언약(行爲言約)이었으니, 그것에서 자신적(自身的) 순종을 조건으로 하여 아담에게와 또 그 안에서 그의 모든 후손에게 생명(生命)이 약속되었다. .. 2025.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