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8

하나님의 섭리에 대하여 1. 정확한 예지로 피조물을 통치하신다. 1) 내용만물(萬物)의 대창조주(大創造主)이신 하나님께서는 그의 가장 지혜로우시며, 거룩하신 섭리에 의해 그의 정확 무오하신 예지(豫知), 또는 자유로우며, 변함없는 자신의 뜻의 도모에 따라 가장 큰 것에서 가장 작은 것에 이르기까지, 모든 피조물들과 행위(行爲)들과 일들을 보호하시며, 지도하시며, 처리하시며, 통치하시어 그의 지혜와 능력과 공의와 선하심과 긍휼의 영광을 찬양하게 하신다. 2) 근거말씀① 잠15:3, 대하16:9, 시145:17, 104:24② 행15:18 ③ 엡1:11, 시33:11,④ 느9:6, 히1:3, 시135:6, 마10:29-31, 행17:25-28 마6:26,30, 욥38-41장⑤ 엡3:10, 롬9:17, 시145편 2. 원인을 정돈.. 2025. 6. 25.
하나님의 예정 1. 하나님의 예정에 대한 논증하나님께서 구원받은 자들을 택하실 때에 개인 개인을 상대로 하셨다. 성경이 말하는 선택(혹은 예정)은 개인 본위의 것이다. 1) 행 13:48에 “영생을 주시기로 작정된 자는 다 믿더라”고 하였고, 2) 예수님께서는 하나님 아버지께서 주신 사람들만 구원하신다는 의미로 말씀하셨다(요6:37). 3) 칼빈은 믿음도 하나님께서 주실 자에게만 주시는 선물이며, 그 선물은 택하신 자에게만 주신다는 의미로 논증하였다. 2. 예정된 자는 그의 은혜를 찬송케 하신 것 1) 내용인류 중에서 생명(生命)에 이르도록 예정(豫定)된 자들은 하나님께서 세상의 기초가 놓이기 전에 그의 영원하며, 불변하는 경영과 그의 의지의 은밀한 도모와 기뻐하심에 따라 그리스도 안에서 택하셔서 영.. 2025. 6. 25.
하나님께서 영원 전부터 장차 될 일을 작정에 대해서 1. 들어가며하나님은 영원전부터 가장 지혜로우시며, 가장 거룩한 자기 뜻의 도모로 되어갈 일을 무엇이든지 자유롭게 또는 변할 수 없게 정하셨는데, 오히려 그것에 의하여 하나님이 죄의 조성자(造成者)로 되지도 않으시고, 피조물의 의지(意志)에 폭력이 가(加)해짐도 없으며, 제 이의 원인들이 자유나 우연성이 제거되지도 않고 도리어 확립되었다. 2. 근거 말씀① 엡1:11, 행4:27,28, 엡2:10② 약1:13, 요일1:5③ 행2:23, 마17:12, 행4:27,28, 요19:11, 잠16:33, 행27:23,24,34,44,④ 삼상23:11-12, 마11:21,23, 시139:1-4⑤ 롬9:11,13,16,18, 딤후1:9, 엡1:4-5⑥ 딤전5:21, 행13:48, 롬8:29-30⑦ 마25:41, 롬9.. 2025. 6. 25.
성경의 자증적 권위 1. 성경의 자증적 권위란?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효과적으로 증거해 주는 이는 성경 말씀 자체이며, 또 성령이시다. 즉, 하나님 자신이시다. 이것이 자증적(自證的)권위이다. 2.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경우데살로니가교회의 교인들은 사도적 전도(사도 이후에는 성경에 기록된 전도)를 직접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다(살전2:13). 그것은 성령의 역사였다. 3. 성경의 독자적 신임성 권위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니만큼, 그것이 참되다는 것은 하나님 자신만이 증거하실 수 있고 사람은 할 수 없다. 마치 영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영어 실력을 평가할 수 없음과 같다. 그러므로 성경은 그 저작자이신 하나님께서 증거해 주셔야만 그 증거를 받는 사람이 믿게 된다. 곧, 성령의 감동으로 믿게 된다는 것이다. .. 2025. 6. 24.
기록된 성경의 중요성 성경기록의 중요성은 독자로 하여금 그 기록된 진리를 확신케 하려 함이고(눅 1:3-4), 하나님의 말씀이 기록된 것은 그 내용을 확실하게 전달하여는 데 있습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내용 자체가 확실한 진리이다.성경의 말씀이 계시되던 그 시대에 기록된 내용이 세월이 갈수록 그 참됨이 드러나게 된 것으로 기록의 형태로 후대에 전해진 것입니다. 2. 부패성에 대한 도전 1) 인간들의 부패성인간들의 진리 반대운동은 인간의 육체, 곧 인간의 부패성이 성경을 그대로 받지 않고 의심하거나 혹은 과장하는 것인바, 인간의 마음은 “만물보다 거짓되고 심히 부패한 것”(렘17:9)이고 이 세상주의도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조롱한다(벧후3:3-4). 2) 부패성의 근원사탄은 인류 역사의.. 2025. 6. 24.
기독교인의 가정윤리 기독교인의 가정윤리는 성경을 기반으로 한 하나님의 창조 질서,사랑과 책임, 서로에 대한 존중과 희생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기독교 신앙은 가정을 단순한 사회 단위가 아닌 하나님의 뜻이 구현되는 삶의 첫 현장으로 이해하며, 이에 따라 특별한 윤리적책임과 역할을 강조합니다.1. 성경적 가정의 기초기독교 가정윤리는 성경, 특히 창세기, 에베소서, 골로새서, 베드로전서 등에 기반합니다.1) 창세기 2:24: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 결혼과 가정은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따른 제도이며, 부부는 하나됨을 이루는 존재2) 에베소서 5:22–33: 부부의 상호 복종과 사랑→ 남편은 그리스도처럼 아내를 사랑하고, 아내는 교회처럼 남편을 존중함3) 신명기 6:6–7: “자녀에게 .. 2025. 6.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