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말씀 묵상

그리스도의 사랑과 대속의 논리

by 초보 준목 슬완빠(papa is ok) 2025. 11. 23.
반응형

말씀 분석

고린도후서 5장 14절은 사도 바울이 자신의 사역의 궁극적인 동기를 고백하는 핵심 구절이며,

모든 그리스도인의 삶의 원동력을 제시합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각하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라."
(고린도후서 5:14)

 

그리스도의 사랑과 대속의 논리

1.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1) '강권하다'

 이는 '붙잡다', '강력하게 몰아붙이다', '억제할 수 없게 하다' 또는 '둘러싸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바울에게 복음 사역을 하게 하는 힘은 외부의 강요나 의무감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십자가의 사랑에서 솟아나는 내적이고 강력한 동기임을 고백합니다.

2) 의미:

사도 바울은 이 사랑에 사로잡혀(통제되어)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복음에 헌신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2.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 '대신하여' :

이는 '~을 위하여' 또는 **'~을 대신하여'**라는 대속적인 의미를 명확히 합니다.

'한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모든 사람'의 죄를 짊어지고 십자가에서 죽으셨다는

대속(代贖)의 진리를 선포합니다. *

3.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라"

* 연합의 논리: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으셨기 때문에, 그리스도와 연합한 우리는 죄와 율법에 대하여

이미 죽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는 죄의 권세 아래 있던 우리의 옛 자아가 십자가에서 끝났음을 의미하며, 이제는 새로운 생명을 위해

살게 되었다는 복음의 핵심적인 변화를 설명합니다(15절로 이어짐).

우리에게 주는 교훈: 새로운 삶의 동기 부여

고린도후서 5장 14절은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의 삶의 목적과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세 가지

교훈을 줍니다.

 

1. 삶의 유일한 동기 부여:

우리의 모든 봉사, 헌신, 그리고 신앙생활의 궁극적인 원동력그리스도의 사랑이어야 합니다.

두려움, 율법적 의무감, 혹은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으려는 자기 의가 아닌, 우리를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신 그 사랑에 압도되어 움직여야 합니다.

 

2. 자아 중심의 삶의 종식: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으로 말미암아 우리의 옛 자아(자기 중심성)는 이미 죽었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나 자신을 위하여 살지 않고' (고후 5:15), 나를 위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신 그리스도를 위해

살아야 합니다. 이 교훈은 자기 부인헌신적인 제자도로 이어집니다.

 

3. 새로운 피조물의 증거:

그리스도의 사랑에 강권되어 살 때, 우리는 세상의 가치나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새로운 관점

가지게 되며(16절),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새로운 피조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게 됩니다(17절).

이 사랑은 우리를 화목하게 하는 직분으로 이끄는(18절) 근본적인 힘이 됩니다.

 

이 말씀은 우리에게 십자가 사랑의 크기를 깊이 묵상하고, 그 사랑이 우리의 모든 행동과 생각의 주인이 되도록

삶을 내어 맡기라는 강력한 촉구입니다.

반응형

'오늘의 말씀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0) 2025.11.24
참된 제자의 길  (0) 2025.11.23
믿음의 결단  (0) 2025.11.22
자신에게는 엄격하고 타인에게는 관대하라  (0) 2025.11.21
'새로운 피조물'의 의미와 교훈  (0) 2025.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