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교도운동이란?
넓은 의미에서 청교도 운동이란 영국교회의 교리와 예배의식과 정치 체제에 반대한
신교도들의 운동이었다.
청교도 운동은 창시자도 뚜렷하게 없는 17세기에 영국에서 일어난 한 형태의 반국교적
신앙운동이다
2. 존 후퍼(John Hooper, 1495-1555)
청교도주의의 시조는 존 후퍼(John Hooper, 1495-1555)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는 헨리 8세 시대에 대륙으로 건너가 2년간 쥬리히에 머물면서
「불링가」의 신앙적 감화를 받고 귀국 후에 교회에 제단을 두는 일과 불경한 미사,
성직자의 독신생활, 성자의 기도, 비밀고해, 미신적인 금욕과 연옥교리에 대해 반대하였다
3. 메리여왕의 죽음 이후
메리 여왕의 죽고 난 후 엘리자베스 여왕이 1558년 11월 17일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그녀의 즉위는 청교도들에게나 신앙의 자유를 원하는 모든 영국의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는 사건이 되었다.
제네바, 쥬리히, 프랑크푸르트로 피난 갔던 신교주의자들 약 800여명이 귀국하였다.
그들은 교회의 어떤 형식보다도 성경을 권위의 기초로 삼았다.
로마 카톨릭의 미신적인 요소들을 제거하고 예배의식을 정화시켰다
3. 엘리자베스 여왕 즉위 이후
엘리자베스 여왕은 왕으로 즉위한 후 로마 카톨릭과 신교의 교리를 함께 적용한
중간노선을 창안했는데, 이것이 오늘날 영국 국교회(Church of England)의 원형이다.
로마 카톨릭의 정치적 종교적 교리를 많이 거부하고 국교회내에 있는 극단적인 청교도주의를
배격하고 영국 여왕의 교회의 최고 통치자임을 내용으로 한 「수장령」(Act of Supremacy)을
선포한 후 국교회인 성공회의 예배형식을 따르도록 강요했다.
4. 청교도들의 개혁운동
이때부터 청교도들은 정치적으로나 입법적으로 교회를 개혁하려는 것을 그만 두고
전보다 더 큰 정력과 노력으로 설교하고 신문이나, 개인적인 저술과 영향력을 통해,
그리고 그들의 순결한 생활을 보여줌으로써 조용한 개혁을 펴가기 시작했다.
청교도들은 국교회가 인정하는 로마 카톨릭적인 모든 예배형식들, 즉 교직자의
법의(法衣)사용, 세례식 때에 미신적으로 사용하던 십자가 표식, 성자일(聖子日)의 축하(祝賀),
성만찬을 받을 때 거기에 육체적으로 친히 임재하시는 그리스도를 경외하는 의미에서
무릎을 꿇고 앉는 일, 그리고 예배 시에 어떤 규정 형식을 반대하였다.
5. 제임스 1세이후
국교회주의를 택하여 청교도의 주장을 외면했다.
제임스의 뒤를 이어 그 아들 찰스(Charles) I 세(1625-1649)가 즉위한 뒤에 청교도의 입장은
조금도 호전되지 못하였다.
아버지와 같이 제왕신권설(帝王神權說)을 주장하고, 국회와의 충돌을 일삼았다.
그는 세 번 국회를 해산하고 성원(星院, The Star Chamber)과 고등법원 등을 통하여
강압정치를 강행하였다.
6. 청교도들의 이민
많은 청교도들이 조국의 현실을 비관하고 미국으로 신앙의 자유를 찾아 이민을 갔다.
이때 이민 간 수가 2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7. 크롬웰의 등장
1637년 왕이 스코틀랜드에 영국교회의 공동 기도서를 강요하자 반란이 일어났다.
1638년에 스코틀랜드의 지도자들은 군대를 일으켜 장로교 제도를 사수하기 위해
영국을 침공하기에 이르렀다.
국회가 진행되는 동안 국왕은 국회를 지지하는 민군(民軍)과 싸움을 걸었다.
한때 민군은 왕군에게 고전(苦戰)을 면치 못했으나, 크롬웰(Oliver Cromwell, 1599-1658) 장군의
지도 아래왕군을 격파하여 끝내는 왕은 스코틀랜드로 패주하고 말았다.
후에 왕은 영국 국회에 압송되고, 1649년 1월에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지고 말았다.
크롬웰이 사라진 후 퓨리탄의 운동은 새로운 대륙으로 옮겨 펼쳐지게 되었다
8. 청교도에 대한 박해
1660년 찰스 2세가 다시 왕으로 즉위하고 공화정에서 왕정(王政)으로 바꾸어졌을 때
청교도들에 대해 박해가 시행되었다.
1662년 거의 2,000여명의 유능한 교회의 지도자들이 목사직에서 추방되었고,
많은 청교도들이 실직과 가난 속으로 버려지게 되었다.
그들은 고난 속에서 인내하였고, 1688년 명예혁명 중에 다시 신앙의 자유를 회복했다.
'청교도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교도 설교의 특징 (0) | 2025.08.24 |
---|---|
청교도의 중심교리 (0) | 202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