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칼빈주의 중심 교리이다.
청교도들의 교리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거기에 따른 대소요리문답은 1643-1648년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이것은 청교도의 교리가 칼빈주의에 기초되고, 근거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교도 교리는 칼빈주의에서 비롯되었고
이를 근거로 하여 일치하거나 가깝게 작성된 것이다.
칼빈주의의 교리의 핵심은 하나님 중심 사상이다.
2. 말씀 중심 교리이다.
청교도들의 특색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충성이다.
성경에서 교리와 생활의 근거를 찾았다.
따라서 그들의 생활철학은 신본주의(神本主義)적이었다.
하나님의 말씀에서 생의 동기와 방향과 목적을 발견하고 하나님의 말씀이 가는데 까지 갔다.
합리주의자들은 성경보다 이성(理性)의 권위를 더 높이고, 신비주의자들은 감정과 체험을
성경보다 더 강조하나, 청교도들은 정통적인 신앙과 열정적 헌신을 함께 강조했다.
교회의 모든 비성경적 예배의식을 배제하고 성경의 강해를 예배의 중심으로 삼았다.
말씀을 듣고 감동된 심령이 바른 찬송을 부를 수가 있고, 말씀을 듣고 회개한 심령이
바른 기도를 드릴 수 있기 때문에 말씀의 바른 선포 그것을 가장 중시하였다.
그래서 강단 외에 제단(祭壇)이나 강단 위에 십자가 상(像)도 두기를 거절하였다.
3. 성령(聖靈)의 역사(役事)이다.
1) 하나님의 주권(主權)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강조한 것은 하나님의 주권(主權)과 인간의 책임이다.
가.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을 믿었기 때문에 주일 성수를 엄하게 하여
하나님을 거룩하게 섬겼고, 엿새동안 힘써 일하여 하나님을 생활 속에서 섬겼다.
나. 인간의 책임을 믿기 때문에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엿새동안 힘써 일한 자만이
안식일을 바로 지킬 수 있다고 보았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높은 이상 추구를 목표하고 모든 일을 “주께 하듯” 성실히 일하였기
때문에 청교도들은 그들의 근면과 성실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성실한 삶’을 추구하는 데서 물질과 시간의 낭비를 싫어하고 세속적인 오락을
멀리하였다.
정직과 성실에서 모아지는 자본을 활용하여 얻어지는 윤택한 삶을 하나님의 축복으로
받아드렸다.
다. 그들은 교회와 국가의 구별을 주장하고 교회는 민주적인 방법으로 선택된 장로들에
의하여 다스려져야 한다고 했다. 이렇게 교회의 독립과 교회의 민주정치를 강조함으로서
영국의 헌정(憲政)에 따라 민주정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 성경의 권위(權威)
청교도 교리는 성경의 권위를 크게 강조한다.
웨스트민스터 신도개요에서 “이 모든 책들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신앙과 생활의
유일무이한 법칙이다”하고 “성경의 무오한 진리와 신적 권위에 대한 우리의 완전한 납득과
확신은 우리의 마음에서 말씀으로서, 또는 말씀과 함께 증거하시는 성령의 내적 사역에서
유래한다”고 하였다.
3) 전도의 확신
청교도들은 하나님의 주권의 강한 신념으로 인하여 확신있는 전도를 하였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은 헛되이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과 하나님은 그의 택한 백성들을
도처에 가지고 계신다는 것과 말씀의 전도로 말미암아 그들이 때가 되면 돌아오리라는 것과
전도자의 재능이나 지혜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사역으로 죄인들이 회개하고
돌아온다는 것을 확신했던 것이다.
그들은 아무리 악한 때에라도 하나님은 항상 자기에게 충성한 사람들을 남겨두신다는 것과
매 시대마다 말씀의 전도를 통하여 사람들이 하나님께 돌아올 것을 알았다.
4) 주일과 안식일
16세기 후반에 청교도가 영국에서 세력을 얻음에 이르러 주일(主日)을 기독교 안식일이라
칭하고 십계명의 제4계명을 이에 적용하여 엄중히 지켰다.
1677년에 청교도는「폭 넓은 안식일법」을 설립하여 주일을 휴식과 예배를 위하여
신적으로 정명(定命)되고 거룩하며 복된 날로 지켜왔다.
'청교도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교도 설교의 특징 (0) | 2025.08.24 |
---|---|
영국의 청교도 역사 (1) | 202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