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60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말씀 분석로마서 8장 9절은 그리스도인의 정체성과 소속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구절로,성령의 내주하심이 구원받은 자의 필수적인 증거임을 선언합니다."만일 너희 속에 하나님의 영이 거하시면 너희가 육신에 있지 아니하고 영에 있나니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라." (로마서 8:9) 영의 거주와 정체성1. "만일 너희 속에 하나님의 영이 거하시면"1) '하나님의 영' 이는 성령을 가리키며, 뒤따라 나오는 '그리스도의 영'과 동일한 분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을의미합니다.2) '거하시면' '집에 살다', '거주하다'라는 뜻입니다. 성령께서 그리스도인의 마음과 삶에 잠시 머무는 것이 아니라,영구적인 거처를 삼고 계심을 강조합니다. 이는 구원받은 자에게 일어난 내적인 근본적인 변화를의미합니다.2.. 2025. 11. 24.
그리스도의 사랑과 대속의 논리 말씀 분석고린도후서 5장 14절은 사도 바울이 자신의 사역의 궁극적인 동기를 고백하는 핵심 구절이며,모든 그리스도인의 삶의 원동력을 제시합니다."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각하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라."(고린도후서 5:14) 그리스도의 사랑과 대속의 논리1.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1) '강권하다' 이는 '붙잡다', '강력하게 몰아붙이다', '억제할 수 없게 하다' 또는 '둘러싸다'는 의미를 가집니다.바울에게 복음 사역을 하게 하는 힘은 외부의 강요나 의무감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십자가의 사랑에서 솟아나는 내적이고 강력한 동기임을 고백합니다.2) 의미:사도 바울은 이 사랑에 사로잡혀(통제되어) 다른 것을 생각.. 2025. 11. 23.
참된 제자의 길 말씀 마태복음 10장 38절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세상에 파송하시며 주신 말씀 중 하나로,제자도의 본질적인 요구사항과 희생의 각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또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지 않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니라." (마태복음 10:38)이 말씀은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이 단순히 신념의 문제가 아니라, 고난과 희생을 감수하는 삶의 태도와 직결됨을 선언합니다.묵상 1. '자기 십자가'의 의미: 1) 1세기 유대 사회에서 십자가는 극도의 고통과 수치, 그리고 결국 죽음을 의미하는 형벌 도구였습니다. 죄인이 십자가를 지고 처형장으로 가는 것은 '죽음으로 가는 여정'을 상징했습니다.2) 따라서 '자기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스스로 기꺼이 고난과 희생을 감수하고, 매일 자아를 부인하며 주님의 .. 2025. 11. 23.
믿음의 결단 말씀 요한복음 11장 29절은 죽은 나사로의 누이 마리아가 예수님으로부터 부름을 받았을 때의 반응을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예수님의 능력과 권위에 대한 즉각적인 순종과 믿음을 보여주는 장면입니다."마리아가 이 말을 듣고 급히 일어나 예수께 나아가니" (요한복음 11:29)이 구절은 슬픔과 고난 속에서도 주님의 부르심에 지체 없이 응답하는 참된 제자의 모습을 보여주며,우리에게 믿음의 결단이 무엇인지 가르쳐줍니다. 묵상 1. 극한의 슬픔 속에서 받은 부르심: 1) 마리아는 오라버니 나사로의 죽음으로 인해 깊은 슬픔에 잠겨 있었습니다. 예수님이 오셨다는 소식을 마르다에게서 듣고도 집에서 움직이지 않았는데(20절), 이는 그들의 절망적인 상황을 보여줍니다.2) 그러나 마르다가 "선생님이 오셔서 너를 부.. 2025. 11. 22.
자신에게는 엄격하고 타인에게는 관대하라 말씀 마태복음 7장 5절은 산상수훈 중 비판에 대한 가르침의 절정이며,자기 성찰의 중요성을 가장 강력하게 역설하는 구절입니다."외식하는 자여 먼저 네 눈 속에서 들보를 빼어라. 그 후에야 밝히 보고 형제의 눈 속에서 티를 빼리라." (마태복음 7:5)이 말씀은 다른 사람의 작은 잘못(티)을 지적하기 전에, 먼저 자신의 크고 근본적인 문제(들보)를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합니다. 묵상 관점 1. 들보와 티의 대조: 1) '티'는 형제의 눈에 있는 작은 먼지나 나무 조각으로, 쉽게 눈에 띄지 않거나 사소한 결점을 상징합니다.2) '들보'는 건물의 지붕을 받치는 거대한 나무 기둥으로, 명백하고 큰 죄나 심각한 결함을 상징합니다. 예수님은 가장 비상식적이고 과장된 비유를 사용하여, 남의 사소한 문제에 집중하는.. 2025. 11. 21.
'새로운 피조물'의 의미와 교훈 말씀 본문 (고린도후서 5:17)"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1. 말씀의 심층적 의미이 구절은 우리가 단순히 '조금 더 나은 사람'이 된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다른 존재가 되었음을 선포합니다.① 전제 조건: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모든 변화의 시작점은 나의 노력이 아닌 '위치(Position)'의 변화입니다. 내가 도덕적으로 완벽해졌을 때가 아니라, 내가 예수님이라는 울타리 안으로 들어갔을 때,즉 예수님과 연합했을 때 변화는 시작됩니다. 접붙임(Grafting)을 상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② "새로운 피조물" 여기서 '새롭다'는 의미는 헌것을 수선하거나 개량(Renovation)했다는 뜻이 아닙니다. 가. 창조적 변화: 하나.. 2025. 1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