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
고린도전서 13장 3절은 흔히 '사랑장'이라 불리는 장에서 사랑의 본질을 역설적으로
가르치는 구절입니다.
"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고린도전서 13:3)
이 말씀은 외적으로 드러나는 희생적인 행위조차도, 그 행위의 근본 동기가 진정한 사랑이 아닐 경우
영적인 가치와 유익이 없음을 선언합니다.
묵상 관점
1. 행위와 동기의 분리:
바울 사도는 사람이 할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인 선행 두 가지를 예로 듭니다.
1) "모든 것으로 구제":
소유를 완전히 포기하는 물질적인 희생의 최고 단계입니다.
2)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줌":
순교나 극한의 봉사와 같은 육체적인 희생의 최고 단계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외적인 행위에 "사랑이 없으면" 그 결과는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는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 앞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을 했느냐보다 왜 그것을 했느냐, 즉 동기임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2. 가짜 사랑의 가능성:
여기서 말하는 '사랑이 없는 상태'에서의 희생은 인정받기 위함, 자기 의를 드러내기 위함, 명예나 보상을
얻기 위함, 심지어 의무감이나 율법적인 행위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사람들에게는 칭찬받을 수 있지만, 그 안에 하나님을 향한 진정한 사랑이나 이웃을 향한
순수한 긍휼이 결여되어 있다면 하나님께는 공허한 울림일 뿐입니다(1절 참고).
3. 사랑의 본질적 우위:
이 구절은 사랑이 다른 어떤 은사나 행위보다 본질적이고 궁극적인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확증합니다.
사랑은 수단이 아니라 목표이며, 모든 선한 행위의 근원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에게 주는 교훈
고린도전서 13장 3절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신앙생활과 봉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동기 점검의 중요성:
우리의 봉사, 헌금, 구제, 희생적인 행동을 할 때마다 왜 이 일을 하는지 그 내면의 동기를 정직하게
점검해야 합니다. 칭찬을 기대하거나, 죄책감을 덜거나, 단순히 종교적 의무를 채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감사와 순수한 이웃 사랑에서 비롯되어야 합니다.
2. '나'를 비우는 훈련:
사랑이 없는 행위는 결국 자기를 위한 행위로 변질되기 쉽습니다. 우리는 봉사나 희생을 통해
자기 의를 쌓으려는 이기적인 마음을 경계하고,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자신을 내어주신 것처럼
오직 사랑을 목적으로 하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3. 사랑의 은사 구하기:
이 말씀은 우리의 연약함을 드러내지만, 동시에 사랑이야말로 우리가 가장 간절히 구해야 할 은사임을
알려줍니다(고전 12:31). 우리는 매일 성령님께 참된 사랑을 부어 달라고 간구해야 하며, 그 사랑이
우리의 모든 행위를 주관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 구절은 우리에게 화려한 겉모습보다 순수한 마음이 하나님 앞에서 훨씬 더 중요함을 일깨워주며,
모든 신앙 활동의 중심에는 반드시 그리스도의 사랑이 있어야 함을 강력하게 요구합니다.

'오늘의 말씀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새로운 피조물'의 의미와 교훈 (0) | 2025.11.20 |
|---|---|
| 그리스도의 사랑 (0) | 2025.11.20 |
| 성숙한 믿음 (0) | 2025.11.19 |
| 여호와여 도우소서 (0) | 2025.11.19 |
| 부지런하며 열심을 품고 주를 섬기라. (0) | 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