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6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달"의 의미 1. 비유의 출처와 핵심1) 원전: 선종(禪宗)에서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은 불교 경전과 가르침을 상징하며, "달"은 궁극적 깨달음(眞如, 불성)을 의미합니다. 이 비유는 《육조단경》과 관련된 선사들의 법문에서 빈번히 등장합니다. 2) 핵심: 가르침(손가락)은 깨달음(달)을 인도하는 도구일 뿐,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2. 《육조단경》에서의 해석① 신수 vs 혜능의 대비1) 신수: "時時勤拂拭(때때로 부지런히 닦아라)" → 점수(漸修)를 통한 점진적 수행을 강조. 의미: 손가락(수행 방법)에 집중해 달(깨달음)을 간접적으로 추구하는 방식. 2) 혜능: "菩提本無樹(보리나무 본래 없다)" → 돈오(頓悟)를 통한 즉각적 깨달음 주장. 의미: 손가락(문자적 가르침)을 거치지 않고 직접 .. 2025. 4. 23.
혜능 스님의 『육조단경』 1. 기본 구성1) 성격중국 선종(禪宗) 6대 조사 혜능 스님(638–713)의 설법을 제자 법해(法海)가 기록한 유일한 중국식 경전으로, 선불교의 핵심 교리와 수행법을 담고 있습니다. 2) 구조혜능의 생애, 오도(悟道) 과정, 대중 설법, 제자 문답으로 구성되며, 마하반야바라밀법과 무상계(無相戒) 수계 방식을 강조합니다. 2. 핵심 교리① 돈오견성(頓悟見性)가.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모든 중생의 마음이 본래 청정하며, 깨달음은 순간적 직관으로 가능하다는 사상. 나. 선악 분별 초월:"착함도 악함도 생각하지 않을 때 본래면목(本來面目)을 보라"는 가르침(혜명 스님 일화). ② 자성(自性)의 강조가. "자성 즉 진불(眞佛)": 외부 의존 없이 자신의 본성을 직관하면 즉시 성불할 수 있음을 주장.나... 2025. 4. 23.
전광훈 목사의 행적을 통해 본 올바른 성직자의 사회적 역할 1. 전광훈 목사의 논란적 행적1) 정치적 선동광화문 집회를 통해 특정 정당·후보 지지 및 반대 운동을 주도하며 종교적 권위를 정치적 도구로 활용.2017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 2025년 헌재 탄핵 기각 후 내란 옹호 의혹으로 수사 중. 2) 신성모독 논란 "하나님 까불면 죽어" 등 도발적 발언으로 교계 내부에서도 비판. 3) 재정적 의혹 집회 참가자 헌금 수취 및 관련 사업체 홍보로 사익 추구 의혹 제기. 2. 성직자의 사회적 역할 원칙① 종교적 본분 우선가. 목회적 책임: 신도의 영적 성장과 윤리적 가치 전달이 최우선.전광훈은 "정치 집회 중심 활동"으로 이 역할을 소홀히 했다는 비판. 나. 상담자 역할: 사회적 약자 보호 및 고통 해소에 주력해야 하나, 그의 발언은 편가르기로 일관. ②.. 2025. 4. 23.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요약 1. 인간의 목적과 성경의 권위문1: "사람의 제일 되고 가장 높은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영원토록 그를 충만히 즐거워하는 것"(롬 11:36, 고전 10:31). 이는 인간 존재의 궁극적 의미를 정의하며, 모든 삶의 활동이 하나님 중심으로 귀결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문2-3: 하나님의 존재는 자연(본성의 빛)과 섭리(창조 사역)로 드러나지만, 구원을 위한 충분한 계시는 성경과 성령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성경(구약·신약)은 신앙과 삶의 유일한 규범이며, 그 권위는 장엄성·순수성·일치성·영광 귀속성·구원적 효력으로 입증됩니다(딤후 3:16-17). 2. 하나님의 속성과 삼위일체문6-11: 하나님은 무한·영원·불변하신 유일신이시며, 삼위(성부, 성자, 성령)가 동일한 본질을 공유합니다. 성자는 .. 2025. 4. 22.
십계명 해설 십계명은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열 가지 계명으로, 하나님 사랑(1~4계명)과 이웃 사랑(5~10계명)이라는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계명은 인간의 신앙과 윤리, 사회질서의 근본 원칙을 제시합니다. 1계명: 나 외에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해설: 오직 하나님만을 유일한 신으로 섬기라는 계명입니다. 다른 신이나 우상을 섬기는 것을 금지하여 신앙의 순수성과 충성심을 요구합니다. 이는 신앙의 출발점이자 근본입니다. 2계명: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절하지 말라해설: 어떤 형상이나 우상을 만들어 경배하거나 섬기지 말라는 계명입니다. 하나님은 보이지 않는 영이시며, 인간의 상상이나 손으로 만든 것으로 하나님을 제한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3계명: 네 하나님 여호와.. 2025. 4. 22.
주기도문의 교훈 주기도문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직접 가르쳐주신 기도문으로, 기독교 신앙과 기도의 본질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기도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교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 인식 주기도문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라는 말로 시작하여, 하나님을 멀리 계신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사랑과 돌봄의 아버지로 인식하게 합니다. 는 신자와 하나님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강조합니다. 2. 공동체적 신앙 강조 ‘우리’라는 표현이 반복되어, 주기도문은 개인의 기도를 넘어 공동체 전체의 평화와 복지를 위한 기도임을 보여줍니다. 신앙이 개인적 차원을 넘어 모두를 위한 것임을 가르칩니다. 3. 하나님의 뜻과 나라를 구함 “나라가 임하시오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라는.. 2025.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