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라기 1장 2절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노라 하나 너희는 이르기를 주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 하는도다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에서는 야곱의 형이 아니냐 그러나 내가 야곱을 사랑하였고"
2. 약속의 땅에서의 불신
말라기서는 구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합니다.
그들은 성전도 재건하고 율법도 회복했지만, 기대했던 영광스러운 메시아 왕국은 오지 않았고,
여전히 가난과 고난 속에서 살았습니다.
이러한 현실의 괴리 속에서 백성들은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에 회의를 품기 시작했습니다.
하나님은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노라"고 선언하시지만, 백성들은 현실의 고통과 실망 때문에
"주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라고 반문하며 하나님의 사랑 자체를 의심했습니다.
2절은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이 고통스러운 '신뢰의 대화'를 여는 첫 구절입니다.
3. 주권적인 선택의 증거
이 구절에서 하나님은 백성들의 회의적인 질문에 대해 야곱과 에서의 주권적인 선택을 증거로
제시하십니다.
A. 하나님의 일방적인 선언: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노라"
하나님의 사랑은 백성들의 순종이나 공로에 대한 보상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먼저,
일방적으로, 그리고 언약적인 관계 안에서 선택하신 사랑입니다.
하나님은 그들이 포로 생활에서 돌아와 고통을 겪고 있을 때조차, 그들을 포기하지 않고
언약 백성으로 붙들고 계셨음을 선언하십니다. 이 사랑은 조건 없는 주권적인 사랑입니다.
B. 인간의 회의적인 반문: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
백성들이 이 질문을 던진 이유는 그들의 삶이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사랑을 현세적인 축복, 즉 풍요와 평안의 기준으로만 측정했습니다.
"만약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신다면, 왜 우리에게 이런 고통이 있습니까?"라는 불만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기대에 부합하는 환경적 증거가 없으면 하나님의 사랑도 부정하려는
인간의 이기적이고 근시안적인 신앙의 단면을 보여줍니다.
C. 야곱과 에서: 선택을 통한 증명
하나님은 에서와 야곱을 비교하시며 답변하십니다.
에서는 야곱의 형이었고, 둘 다 똑같이 이삭의 자녀였으며 똑같이 복 받을 자격이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야곱을 선택하여 언약의 통로로 삼으셨습니다.
이것은 이스라엘의 현재 상황이 좋아서 사랑한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뜻과 주권으로
약 백성을 삼았음을 증명합니다.
즉, 하나님의 사랑은 당신의 약속과 선택에 근거하며, 인간의 눈에 보이는 상황이나 행위에 따라
변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증하십니다.
4. 우리에게 주는 교훈
교훈 1: 사랑의 증거를 환경에서 찾지 말라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처럼 종종 하나님의 사랑을 내 통장의 잔고, 건강 상태, 혹은 일이 잘 풀리는지 여부와 같은
눈에 보이는 환경적 증거로 판단하려 합니다.
그러나 말라기 1장 2절은 하나님의 사랑의 가장 큰 증거는 우리의 삶이 얼마나 풍요로운가가 아니라,
우리 같은 죄인을 먼저 선택하여 자녀 삼아주셨다는 사실 자체에 있음을 가르칩니다.
우리를 위해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내어주신 십자가야말로 사랑의 절대적인 기준입니다.
교훈 2: 받은 은혜를 끊임없이 기억하라
우리가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라고 반문하는 순간은 우리가 과거에 받은 야곱의 은혜를 잊고,
지금 당장의 에서의 상황에만 집중할 때입니다.
우리는 본래 야곱처럼 속이고 넘어지며 에서처럼 세상의 쾌락을 좇던 존재들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를 택하여 구원하신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를 매 순간 기억하고 감사해야 합니다.
이 기억이 우리를 불평 대신 찬양으로 이끌어갑니다.
교훈 3: 언약에 근거한 확신을 가지라
하나님의 사랑은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노라"는 신실한 약속(언약)입니다.
우리의 감정이나 상황은 수시로 변하지만, 하나님의 약속은 변하지 않습니다.
현재 고난과 역경이 있을지라도, 하나님의 사랑은 멈추지 않았음을 확신해야 합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어떻게?"라는 질문 대신, "주님의 사랑을 믿고 의지하겠습니다"라는
언약적 믿음의 응답을 드리는 것입니다.
이 확신만이 고난의 때에 우리를 지탱해 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말씀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백과 용서의 은혜 (0) | 2025.11.07 |
|---|---|
| 일용할 힘과 구원 (0) | 2025.11.06 |
|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 (0) | 2025.11.06 |
| 마음을 지키라 (0) | 2025.11.05 |
| 심판과 분리의 메시지 (0) | 2025.11.05 |